[씨줄날줄] 짝퉁 루이뷔통/박홍기 논설위원

[씨줄날줄] 짝퉁 루이뷔통/박홍기 논설위원

입력 2011-07-15 00:00
업데이트 2011-07-1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명품(名品)은 자신만의 향기와 가치를 지닌다. 전통과 함께 남이 따를 수 없는 기술, 출고량 제한에 따른 희소성은 기본이다. 값은 비싸다. 대신 질을 담보하는 까닭에 쓸수록 진가를 드러낸다. 장인의 작품으로 평가되는 이유다. 유럽에서 명품은 재력이 받쳐주는 상류층의 전유물로 여겨지고 있다.

루이뷔통은 150년의 역사를 가진 명품 브랜드다. 제조자 이름이기도 하다. 트렁크 회사 견습공 출신인 루이뷔통은 1854년 프랑스 파리 중심가 루데브데 4번가에 처음 여행가방 전문점을 냈다. 당시 혁신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과 실용성 덕에 큰 호응을 얻었다. 인기는 지금도 식을 줄 모른다. 루이뷔통의 첫 글자 ‘LV’에 아르누보 경향의 꽃과 별을 결합시킨 디자인은 아들 조르주 뷔통이 1896년 모조품을 막기 위해 고안한 것이다.

루이뷔통 핸드백은 우리나라에서 ‘3초 백(bag)’으로 불린다. 3초마다 눈에 띌 만큼 흔한 탓에 ‘국민가방’이라는 별칭도 붙었다. ‘5초 백’은 구치다. 특정계층의 소유물이 아닌 것이다. 루이뷔통 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은 4200억원으로 10년 만에 8배나 급증했다. 비쌀수록 잘 팔린다는 속설이 맞아떨어진 것이다. 베블런 효과다. 미국 사회학자 베블런은 1899년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자각 없이 이뤄진다.’라고 갈파했다.

베블런 효과와 좀 다른 구매심리를 스놉(snob) 효과라고 한다. 미 경제학자 하비 레이번스타인이 1950년 제시한 ‘특정 상품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 희소성이 떨어지면 그 상품의 수요가 줄어드는 현상’이다. 그러면서도 다른 사람들이 사기 어려운 값비싼 상품을 보면 더 사고 싶어 하는 속물근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남과 다르다는 백로(白鷺)효과다.

스놉 효과는 일본에서 가시화되고 있다. 1980~90년대 호황 시절 명품 핸드백은 일본 여성들의 필수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한때 루이뷔통 전체 판매량의 70%가량을 일본이 차지했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하지만 명품 매출액이 최근 몇년간 감소세다. 경제 불황보다 희소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게 지배적인 분석이다. 우리나라의 명품 선호도는 아직 일본 수준에 못 미치는 것 같다. 올 상반기 특허청에 적발된 짝퉁 명품 가운데 루이뷔통이 가장 많았다. 짝퉁이라도 들고 다녀야 직성이 풀리는 과시욕이나 허영심 때문인 듯싶다. 우리나라에서는 언제쯤 베블런 효과가 스놉 효과로 바뀔지 자못 궁금하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1-07-15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