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7 to 3/이도운 논설위원

[씨줄날줄] 7 to 3/이도운 논설위원

입력 2011-07-29 00:00
업데이트 2011-07-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의 수도 워싱턴DC와 버지니아 주를 잇는 고속도로 I66은 오후 3시부터 ‘러시아워’가 시작된다. 아침 7시에 출근해 오후 3시에 퇴근하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대도시에서는 전통적인 ‘9 to 5’ 대신 ‘7 to 3’나 ‘8 to 4’ 또는 ‘10 to 6’와 같은 ‘유연근무제’(Flextime)를 선택하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

7 to 3는 주로 유아와 초등학생을 둔 부모 또는 이혼 남녀가 선호한다고 한다. 자녀가 유아원이나 학교를 마칠 시간에 맞춰 퇴근하는 것이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에는 남편이 늦게 출근(9 to 5)하며 아이들을 맡기면, 아내가 일찍 퇴근(7 to 3)해 아이들을 돌보고 저녁 식사를 준비하기도 한다. 젊은 직장인들은 대학원에 다니거나, 음악·미술 등 취미활동에 몰두하기 위해 출퇴근 시간을 앞당기거나 늦추기도 한다. 독일 기업들은 1960년대 말부터 출퇴근 시간의 교통 혼잡을 피하기 위해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이 제도는 여가시간 활용이라는 이점 때문에 우수한 노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부수효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영국 정부는 2003년 5세 미만 자녀를 둔 부모는 누구나 유연근무제를 신청할 수 있도록 법으로 규정했다. 프랑스의 화장품업체 로레알은 초등학교가 수요일에 문을 닫는 교육 체계에 맞춰 기혼 여성이 수요일에 쉬는 ‘주 4일제’ 또는 수요일만 재택 근무를 하는 ‘주 5일제’를 도입했다. 프랑스 사회통합총국은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면 고용 창출의 효과도 있고, 업무의 효율성 그리고 출산율까지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 이건희 회장의 신경영 선언 이후 삼성그룹이 7시 출근, 4시 퇴근, 말하자면 ‘7 to 4’ 제도를 도입,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우리나라는 12시부터 1시까지 공식적인 점심식사 시간이 있어 서구에 비해 퇴근시간이 1시간 늦다). 그러나 보수적이고 경직적인 당시의 노동환경이나 사회문화 탓에 정착되지 못하고 2002년 사원투표를 거쳐 폐지됐다. 우리 정부가 최근 들어 유연근무제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7일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나부터라도 오후 5시에 퇴근하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청와대 국정기획수석 시절 사무실에 야전침대까지 갖다 놓고 일하던 박 장관이 과연 5시에 퇴근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많은 공무원들이 의구심을 갖고 있다. 어찌 보면 박 장관의 퇴근 시간이 정부 내 유연근무제의 성패를 가를 수도 있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2011-07-29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