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송이의 귀환/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송이의 귀환/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1-10-01 00:00
업데이트 2011-10-01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인들의 ‘송이’(松耳) 사랑은 유별나다. 송이철이 되면 미국 워싱턴주부터 캘리포니아 일대에 이르기까지 송이를 채취하는 일본인들의 행렬을 쉬 볼 수 있을 정도다. 재미있는 것은 송이 균환(菌環)을 발견하면 가족에게도 알리지 않는 것은 물론 뒤를 밟히지 않게 자동차를 역주행한다. 송이를 통해 일본 가을의 향취를 느끼고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대리만족하는 것이다. 가을의 진객 송이는 맛과 향이 뛰어나 조선시대 사신에게 선물을 줄 정도로 귀하게 취급돼 왔다. 송이는 익히 알려진 대로 소나무와 공생관계로 살아간다. 송이 균사(菌絲)는 토양 속의 무기양분을 흡수해 소나무에 공급하고 소나무는 광합성 산물을 송이균에 전달해준다. 따라서 양분을 주는 소나무가 죽으면 송이도 생존할 수 없다.

1996년 강원도 고성에선 대형산불이 발생, 3762㏊의 산림이 불에 탔다. 고성은 소나무가 많아 송이의 주산지였던 곳. 소나무가 불에 탔으니 토양 속에 있는 송이 균사는 양분을 공급받지 못해 죽을 위험에 처했다. 송이 균사는 최대 3년 정도 버틸 수 있지만 그 이상은 생존이 불가능하다. 이에 주민들의 요청을 받은 산림청은 소나무 묘목 130만 그루를 긴급공수해 송이산지에 심었다. 송이는 소나무와 30년 정도 공생해야 생기는 만큼 앞으로 고성 송이를 맛보려면 15년가량을 더 기다려야 하는 셈이다. 송이는 인공재배가 어렵다. 양분을 공급하는 소나무와 땅속에서 잘 자랄 수 있는 토양환경 및 송이 발생에 영향을 주는 기후조건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송이 인공재배는 송이 감염묘(感染苗)에 의한 방법이 있다. 땅속의 송이균 바로 앞에 어린 소나무를 식재하고, 어린 소나무에 송이균이 감염되면 이 소나무를 송이가 발생하지 않는 소나무림에 옮겨 심어 버섯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0월 감염묘로부터 한개의 버섯을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으나 대량 재배까지 가기에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송이가 가장 많이 나는 기간은 9월 말~10월 초순이다. 요즘이 한창 송이철인 셈이다. 때마침 경북 봉화·울진, 강원도 양양 등지에선 송이축제 행사가 열리고 있다. 올가을은 늦더위와 가뭄으로 인해 송이 생산량이 좋지 않다고 한다. 송이는 소나무 능선을 따라 대부분 7부 능선 이상에서 자란다. 송이는 균환을 보호하기 위해 버섯으로부터 50㎝ 밖에서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무튼 송이 인공재배의 길이 활짝 열려 송이가 우리들 곁에 더욱 가까이 다가오기를 기대해 본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1-10-01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