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명함/주병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명함/주병철 논설위원

입력 2012-01-10 00:00
업데이트 2012-01-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코틀랜드에 제임스 맥퍼슨이란 대학 교수가 있었는데 어느 날 명함을 또 찍어야 할 일이 생겼다. 마지막 남은 한 장을 인쇄소에 보냈는데 그것은 언젠가 한번 쓰려다 둔 명함이었다. 이 명함에는 무슨 글이 적혀 있었다. 그대로 인쇄한 새 명함은 이렇게 새겨져 있었다. ‘병환의 회복을 빕니다. 맥퍼슨 교수.’

윤처관(尹處寬)이 의정부 녹사(事)로 있을 때 어느 날 새벽에 정승 박원정을 찾아갔으나 일어나지 않았다며 청지기가 문을 열지 않았다. 분한 생각에 어린 아들 효손(孝孫)에게 “이런 모욕을 당하니 너는 훌륭하게 되어 아비같이 되지 말아라.”라고 말했다. 효손은 이 말을 듣고 부친의 명함 뒤에다 이런 글을 써놓았다. “상공의 늦잠이 과해, 문전에서 사람의 명함에는 털이 났도다. 꿈속에서 혹 옛날 주공(周公)을 만나거든 그때 토포(吐哺) 악발(握髮)하던 수고나 물어보시오.”라고 했다. 주공은 나를 지극정성으로 대하였는데 당신은 왜 그렇게 거만하냐는 얘기였다. 이튿날 부친은 그 명함을 갖고 다시 정승댁에 들여보냈더니 박정승이 명함 뒤를 보고는 효손을 칭찬하며 사위로 삼았다고 한다.

자신을 소개하는 명함은 16세기 중국에서 시작됐는데, 방문한 집에서 주인을 만나지 못하면 종이에 이름을 적어두고 온 데서 유래됐다고 한다. 독일에서도 같은 무렵 비슷한 용도로 사용됐는데, ‘비지팅 카드’(Visiting Card)로 불렸다. 일본은 에도막부의 관리가 방일한 미국 사절단에게 명함을 건넨 게 처음이고, 우리나라의 최초 명함 사용자는 한국인 최초 유학생인 유길준으로 기록돼 있다.

지금의 명함은 몰라보게 진화됐다. 흑백에서 컬러로 바뀌어 캐리커처나 사진을 넣은 지 오래됐고, 직업에 따라 크기도 다르고, 명함의 직함이나 이력 등도 개성 있게 꾸민다. 단순한 개인 소개보다는 홍보(PR) 용도까지 포함된 게 요즘 명함이다. 그래서 상대방이 건네는 명함의 모양이나 스타일을 보고 성격이나 개성, 인품을 가늠하기도 한다.

가장 흔해 빠진 게 정치인의 명함이다. 근데 이게 종종 화근이 된다.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대통령 후보의 BBK 주가조작 개입 의혹과 관련해 그가 만든 BBK 명함이 공개돼 논란이 됐다. 이번에는 고승덕 한나라당 의원이 2008년 전당대회 때 박희태 국회의장 쪽 인사가 자신에게 돌린 “돈 봉투 안에 박희태 명함이 있었다.”고 밝혀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명함이 범죄 혐의의 단서가 되는 세상이고 보면 명함의 본래 의미가 퇴색되는 것 같아 씁쓰레하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2-01-10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