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저작권료 100억원 시대를 기대하며/강태규 대중문화평론가

[문화마당] 저작권료 100억원 시대를 기대하며/강태규 대중문화평론가

입력 2012-01-19 00:00
업데이트 2012-01-19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해 음악 저작권료로 10억원 이상 받았다는 뉴스를 심심치 않게 접한다. 물론 몇몇 유명 작품자의 이야기다. 도대체 10억원은 어디서 어떻게 발생된 것일까?

이미지 확대
강태규 대중문화평론가
강태규 대중문화평론가
음악 저작권 수익은 개인정보여서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이하 저작권협회)가 대외비로 정하고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다. 저작권협회가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저작권료 수입 1위 작품자는 그해 총 11억 9100만원을 받았다. 그 뒤를 이은 작품자도 10억 7852만원의 저작권료를 분배받아 ‘10억원 대열’에 합류했다.

3년 전의 자료니 지난해 저작권료 수입 1위 작품자는 그 금액을 훌쩍 뛰어넘었을 것이다. 해마다 저작권협회 징수액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저작권협회의 1년 징수액은 이제 1000억원을 상회하고 있다. 최근 K팝 한류 열풍이 불면서 해외 저작권료도 발생하기 시작했다. 저작권협회에서 발생되는 분배액과 별도로 해외 저작권료가 더해지면 액수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세계적인 뮤지션들이 받는 저작권료는 천문학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확한 수치는 아니지만 영국 출신의 비틀스가 데뷔 이후 징수한 저작권료를 지금의 분배방식으로 합치면 수십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통계는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아니다. 그들이 판매한 10억장의 음반에 따르는 음반 판매 저작권료만으로도 이미 그만큼의 분배 액수가 성립된다.

현재 저작권협회 분배 내역은 크게 방송·전송·복제·공연·기타 항목으로 나눠진다. 방송 항목은 유·무선방송과 IPTV, 위성 및 DMB방송, 웹캐스팅 및 기타 방송으로 나뉘고 전송 항목은 유선전송(스트리밍서비스), 무선전송(컬러링·벨소리 등)으로 구분된다. 복제 항목은 음반, 기타녹음, 영상물, 노래반주기, 출판, 보상금, 영화, 광고로 구분되고 공연 항목은 무대공연과 유원 및 전문 체육시설, 유선공연, 노래연습장, 유흥주점, 단란주점, 무도장으로 나뉜다. 기타 항목은 외국입금, 대여로 나눠져 총 24개 항목에서 저작권료가 발생, 분배된다.

가령, 한 노래가 음원 매출 30억원의 히트를 기록할 때, 전송 항목에서만 무려 2억 7000만원의 저작권료가 발생한다. 음원 매출액의 9%는 작사·작곡자에게 분배된다. 작사가와 작곡자는 이를 각각 4.5%의 비율로 똑같이 나눈다. 저작권협회에서 15% 내외 관리수수료를 공제한 금액이 작품자에게 최종적으로 분배되는 것이다. 음반 판매에 따른 저작권도 이 같은 방식으로 징수되고, 우리가 노래방에 가서 부르는 노래 역시 표본조사를 통해 작품자들에게 저작권료가 지급된다.

따라서 국민가요라 불리는 애창곡은 긴 세월 동안 저작권료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다른 가수가 리메이크를 해도 원곡자의 저작 권리는 그대로 이어진다. 저작자가 죽어도 50년 동안 권리를 보호받는다. 히트곡 수가 늘어날수록 당연히 저작권료도 불어난다. 저작권료 10억원 대열에 이름을 올려놓은 작품자가 당연히 유명세를 치르는 것은 그동안 수많은 히트곡을 만들어 왔기 때문이다.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10억원을 번 작품자는 한 해에 몇 곡을 만들어요?” 질문의 답이 궁금해 확인해 보았더니 그해 53곡이 저작권협회에 등록되어 있었다. 그 가운데는 동일한 곡의 반주 음악도 함께 등록돼 있었으니 족히 30곡은 넘었다. 이를 단순 치환하면, 10일 만에 노래를 한 곡씩 만들어 온 셈이다. 인기 작품자에게 음반 기획자들이 얼마나 줄을 서고 있는지 방증하는 사례이지만 그렇게 탄생한 곡들이 세월을 버티며 사랑을 받을지는 두고 볼 일이다. 그 노래가 그 노래 같다는 말이 나오는 연유도 그래서일 것이다.

많은 음악 작품자들이 저작권료를 위해서 밤을 새우지는 않을 터다. 뼈를 깎고 각혈하는 심정으로 나온 곡들이라야 비로소 대중의 가슴을 파고들고, 소통도 할 게다. 조만간 한 해 ‘저작권료 100억원’ 시대가 열릴 수 있게 해야 한다. 저작권료 수익이 많을수록 우리 가요가 세계 음악 시장 변방에서 중심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012-01-19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