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생명의 窓] 한때 우리는 범신론자였다/구미정 숭실대 기독교학과 강사

[생명의 窓] 한때 우리는 범신론자였다/구미정 숭실대 기독교학과 강사

입력 2012-01-28 00:00
업데이트 2012-01-28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구미정 숭실대 기독교학과 강사
구미정 숭실대 기독교학과 강사
‘뽀로로’에 빠져 한동안 정신을 못 차리던 조카가 요즘 부쩍 한눈을 판다. 낌새를 보아하니 ‘토마스’라는 새 친구한테 마음을 빼앗긴 것 같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뽀로로로 도배를 하고 있으면서도, 눈은 자꾸만 토마스 쪽으로 돌아간다. 그 눈에서 반짝반짝 레이저가 발사되는 게 영락없이 토마스와 사랑에 빠진 눈치다.

처음에는 몰랐다. 연봉이 축구 스타 박지성보다도 더 높은 뽀로로의 정체가 고작 펭귄이라는 사실을. 이상한 조종사 모자와 스키 고글로 변장하고 있으니, 단박에 알아볼 재간이 없었다. 게다가 그 친구들도 조금씩은 동글동글하게 성형되어 있어서 정체 파악에 시간이 좀 걸렸다. 거기에 비하면 토마스와 친구들의 정체는 무지 단순하다. 모두 똑같은 꼬마 기관차인데, 단지 성격만 다를 뿐이다.

펭귄과 기관차를 향해 맹목적인 사랑을 쏟아붓는 조카를 보고 있노라니, 모든 인간은 애초에 물활론자요 범신론자로 태어나는 게 아닌가 싶다. 조카의 눈앞에서 뽀로로와 토마스를 ‘한낱’ 동물과 사물로 대했다가는 누구라도 ‘공공의 적’이 될 터이다. 저 펭귄과 기관차는 적어도 그의 생활세계에서 살아 있는 유기체일 뿐만 아니라, 다른 무엇으로도 대체불가한 절대적인 사랑의 대상임이 분명하다.

모든 아이가 그렇지 않은가. 유치원에 가려고 집을 나서며 “잘 있어, 집아!” 인사하는 게 아이들이다. 유치원 차를 향해 “안녕, 차야!”라고 반가워하며, 심지어 변을 보고 나서도 “잘 가, 응가야!” 하며 아쉬워한다. 의인화는 아이들의 전매특허다. 아이의 눈에는 플라스틱 장난감도 다 살아 있는 신령한 생명체다. 못 믿겠으면 실험해 보라. 이까짓 거, 하면서 토마스를 집어던지는 시늉만 해도, 아이는 단박에 자지러질 것이다.

그랬던 우리 아이들에게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동식물은 물론, 생명 없는 사물까지도 극진한 사랑으로 대하던 아이들이 멀쩡한 사람을, 그것도 같은 반 친구를 어쩌다가 그리 매정하게 대하게 되었나. 신문 사회면에서 ‘학교’라는 단어만 나와도 지레 겁이 난다. 고등학교에서 중학교로, 다시 초등학교로 하향 조정된 ‘잔혹사’의 내용과 수법이 도저히 믿기지 않을 정도다.

일본 오사카부립대학에서 생명학을 가르치는 모리오카 마사히로 교수는 오늘 우리 사회에다가 ‘무통문명’(無痛文明)이라는 딱지를 붙였다.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신체의 욕망에 충실한 현대인들은 자신의 고통을 철저히 무통화(無痛化)함과 동시에 타인의 고통도 느끼지 못하고, 타인의 호소를 들으려고 하지 않으며, 타인을 일방적으로 짓밟으면서도 자기가 지금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전혀 알아채지 못하는 마비증에 걸렸다는 것이다.

문명의 씨줄과 날줄은 정치와 경제가 짜나간다. 어른들의 정치와 어른들의 경제가 다중의 고통 따위는 안중에도 없는 소수의 쾌락만을 위한 것이니, 그 뒤틀린 토양에서 자란 아이들도 마취와 환각에 취하는 건 당연지사. 결국 우리 아이들을 ‘괴물’로, ‘좀비’로 키운 건 전적으로 어른들이 만든 무통문명 그 자체가 아닌가.

고통은 살아 있음의 표지다. 살아 있되, 생생하게 자기를 실현해 나가는 사람일수록 자기 자신의 고통에 정직할 뿐만 아니라, 남의 고통에도 민감한 법이다. 남의 고통을 자신의 것으로 여기는 능력을 가리켜 ‘대자대비’라 하고 ‘아가페’라 한다면, 그 경지야말로 인간이 신에 가장 가까운 존재로 승화되는 차원이 아닐는지.

자연만물을 죽은 물질로, 인간에게 필요한 자원 공급의 수단으로 보는 근대문명의 지식교육만 갖고서는 무통화된 아이들을 치유할 수 없다. 꽃대가 꺾이고 나뭇가지가 잘리면 내 팔에서도 피가 뚝뚝 떨어질 것 같은 느낌이 들어야 한다. 그래야 교실 안에서 가장 만만하고 무력한 아이를 찾아 무자비하게 약탈하는 문화가 근절된다. 결국 깨진 기왓장 하나에서도 신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마음의 눈을 회복하는 게 관건일 것이다. 모든 인간은 세상에 올 때부터 그 눈을 가지고 태어난다. 한때 우리는 모두 범신론자였다!

2012-01-28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