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늘의 눈] ‘강제’와 ‘반발’의 함수/이영준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강제’와 ‘반발’의 함수/이영준 사회부 기자

입력 2012-07-04 00:00
업데이트 2012-07-04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등학교 시절, 학원에 간다고 집을 나서서는 이내 오락실로 향했다. 당시 유행했던 ‘골든액스’란 게임에 푹 빠졌다. 부모님은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700원을 줄 테니 토요일 오후에만 게임을 하라고 했다. 아쉬웠지만 제안을 수용했다. 이후 정해진 시간에만 게임을 즐겼고, 덕분에 중독에 빠지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이영준 사회부 기자
이영준 사회부 기자
지난 1일부터 적용된 선택적 셧다운제도 이런 효과를 노리고 있다. ‘게임을 아예 못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가족의 합의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만 게임을 허용하겠다는 것이다. 소통을 전제로 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게임 ‘로그아웃’을 강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모에게 넘겼다는 게 문제다. 부모는 1년 동안 게임 사용금지를 요청할 수도 있다. 절대적 힘이다. 그러나 강제는 반발심을 키운다. 사용 중인 컴퓨터의 전원을 누군가 끊어 버린다면 반발하지 않을 사람이 있을까.

제도의 성패가 부모의 관심에 달렸다는 점도 실효성을 떨어뜨리는 대목이다. 실제로 가정환경과 게임 중독의 상관성을 다룬 연구논문들을 살펴보면, 맞벌이나 블루칼라의 자녀가 게임 중독에 훨씬 취약했다.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직업이 무엇이냐에 따라서도 중독 성향에 큰 차이를 보였다. 전업주부의 자녀일수록 게임 중독에 잘 빠지지 않았다. 자녀와 함께하고 싶어도 그럴 수 없는 가정의 자녀들이 게임 중독에 더 쉽게 빠져든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하나 이런 부모들에게 ‘따로 시간을 내 자녀들의 게임시간을 강제로 설정하라.’고 하는 건 정책의 실효성을 떨어뜨리는 안일한 접근이다. 게다가 적용 대상 게임만 101종이나 된다.

게임 중독은 무관심에서 비롯된다. 그 폐해를 일깨워주고 스스로 절제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임 시간을 강제해 자녀의 반발과 일탈을 부추길 게 아니라 자녀와 더 많은 대화를 나누도록 유인하는 게 옳다. 정책이 그런 방향성을 갖지 못했다면 지금이라도 보완책을 강구해야 한다.

apple@seoul.co.kr

2012-07-04 30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