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고래사냥/구본영 논설위원

[씨줄날줄] 고래사냥/구본영 논설위원

입력 2012-07-09 00:00
업데이트 2012-07-09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술 마시고 노래하고 춤을 춰 봐도/가슴에는 하나 가득 슬픔뿐이네/…/자∼ 떠나자 동해 바다로….” 통기타 가수 송창식이 1970년대에 발표한 ‘고래사냥’의 일부다. 기성의 굴레와 도시의 악취에서 벗어나려는 가사로, 시위 현장에서 많이 불린 탓일까. 한때 금지곡으로 묶였다.

조영남·윤형주·송창식 등 ‘세시봉 가수’들이 재조명되면서 고래사냥이 요즘 다시 애창되고 있다. 그러나 진짜 고래잡이는 시들해진 지 오래다. 1986년 한국이 국제포경위원회의 ‘상업용 고래잡이 모라토리엄(유예)’에 동참하면서다. 동해는 본래 고래가 많이 서식하는 바다로, 고래고기는 오래전부터 인기 식품이었다. 한때 울산·포항 등에는 고래고기 식당들이 번창했다. 장생포항도 고래잡이의 전진기지로 흥청거렸다.

정부가 며칠 전 26년간 금지해 온 포경을 내년부터 재개한다는 방침을 내놓자 역풍이 만만찮다. 국내외 환경단체는 물론 호주 총리와 미 국무부까지 우려를 표명했다. 정부는 고래 개체 수 증가에 따른 어업 피해 등 과학적 연구를 포경 재개의 명분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과학연구로 포장해 상업용 고래잡이를 일삼은 일본의 전례 탓인지 국제여론은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다. 물론 고래잡이를 제한적으로나마 허용해야 한다는 논리가 아주 터무니없는 건 아니다. 동해에 서식하는 8만여 마리의 고래가 오징어·청어 등을 1년에 14만 6000t이나 먹어 치운다고 한다. 그래서 어민 보호 차원에서 연간 수십 마리의 고래를 잡는 게 무슨 문제냐는 것이다. 지난 5년 새 오징어 어획고만 15% 감소했다니….

그러나 같은 논리를 내세웠다가 국제여론의 집중포화를 자초한 일본을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나 일본과 달리 고래고기가 인기 식품이 아닌 나라 사람들의 정서를 감안해야 한다. 불량 소년과 수족관 범고래의 우정을 다룬 영화 ‘프리 윌리’가 공전의 히트를 친 이유가 뭘까. 주인공 제시가 윌리를 ‘돌고래 쇼’장에서 바다로 돌려보내는 단순한 줄거리이지만, 감동할 준비가 된 정서가 이미 존재했기 때문이다.

정보기술(IT)의 발달과 K팝의 확산으로 우리의 국가 이미지가 높아진 상황이다. 어업권을 확보하려고 무조건 고래의 개체 수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은 자칫 자충수가 될 수 있다. 동해 고래 개체 수의 증대로 인한 다른 어류 생태계 피해 등에 대한 보다 과학적인 근거를 대며 국제사회를 설득해야 할 듯싶다.

구본영 논설위원 kby7@seoul.co.kr

2012-07-09 3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