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스님의 유행가/최용규 논설위원

[씨줄날줄] 스님의 유행가/최용규 논설위원

입력 2012-07-11 00:00
업데이트 2012-07-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이 약탈해 간 귀중한 문화유산인 고려불화가 외교적 노력이 아닌 절도범의 손에 의해 국내로 돌아온 사건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무속인이 낀 당시 50대 중반의 원정 절도단은 2002년 일본 효고현의 사찰 가쿠린지(鶴林寺) 소유의 ‘아미타삼존도’를 훔쳐 국내 중개상에게 팔았다. 아미타삼존도는 화려함과 치밀함이 특징이며 감정가만 10억원에 달하는 일본의 국가지정문화재다. 한·일 공조수사로 2004년 범인들이 붙잡혔지만 이들의 절도행각은 ‘애국절도’로 미화되기도 했다.

현재 국내에는 부석사 조사당 벽화(국보 46호), 갑사 삼신불 괘불탱(국보 298호) 등 10점 안팎의 불화가 국보로 지정돼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예술품인 고려불화는 대부분 해외로 유출돼 일반인은 구경조차 하기 힘든 게 현실이다. 현재 남아 있는 고려불화는 전세계에 160점 정도이며, 우리나라엔 20여점밖에 없다. 학계에선 고려불화는 고려시대에 그려진 그림이라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한다. 이는 고려시대의 일반 회화가 거의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고려불화는 우리나라 불교미술의 백미로 꼽힌다. 단아한 형태와 원색을 주조로 한 화려한 색채의 조화, 물 흐르듯 유려하면서도 힘 있는 선묘는 세계적인 종교예술품이라는 찬사가 결코 과하지 않다. 재작년 국립중앙박물관이 개최한 ‘고려불화대전-700년만의 해후’는 고려불화가 명불허전이라는 것을 실증했다. 이때 전시된 작품 중 일본 센소지(淺草寺) 소장 수월관음도는 우리 국사 교과서에 고려 문화의 진수로 소개되기도 했다. 물방울 관음으로 불리는 수월관음도는 일본 현지에서도 공개하지 않아 일본 학자들조차 보기 어려웠다. 이런 찬란한 고려불화는 조선의 억불숭유정책으로 급속히 퇴조했다. 갖고 있는 것만으로도 처벌 대상이 됐던 만큼 불화는 절 이외에서는 접하기 어려웠다.

30년 넘게 고려불화 재현과 대중화에 혼신을 다하고 있는 고려화불연구소 이사장 혜담 스님이 고려화불(스님은 불화를 화불이라고 표현했음)에 얽힌 속내를 털어놓았다. 구슬픈 유행가 한 자락을 통해서다. 수월관음도와 500나한도를 국내 최초로 재현한 고려불화 재현의 독보적 존재다. 300여점의 고려불화가 참선하듯 몰입한 그의 붓놀림으로 재현됐다. 스승 없이 일궈낸 일이라 더욱 값지다. 재현은 했지만 작품 보관이 큰 걱정이다. 찬란한 문화유산의 명맥을 잇는 스님의 뜻이 단절되는 일 없이 천년이 가도록 꽃 피울 수는 없을까.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2012-07-11 3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