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007 본드걸 50년사/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007 본드걸 50년사/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2-10-23 00:00
업데이트 2012-10-2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딩디리딩딩 딩딩딩~” 빠른 기타 선율의 테마곡이 흐르면서 한 남자가 총구의 한가운데서 걸어나와 총을 쏜다. 영화 ‘007시리즈’의 제임스 본드다. 스파이 영화 역사상 가장 매력적인 캐릭터의 사나이다. 007 시리즈가 올해로 50년이 됐다. 1962년 영국 런던에서 첫선을 보인 ‘닥터 노’ 이후 이달 말 개봉되는 ‘스카이폴’까지 23편이 제작됐다. 그동안 숀 코너리 등 6명의 제임스 본드가 등장했지만 이 영화의 또 다른 매력은 단연 본드 걸이다.

본드 걸을 보면 여성사(史)가 보인다. 본드 걸에 ‘섹시의 아이콘’ 이미지를 입힌 이는 제1탄 ‘닥터 노’의 우르슬라 안드레스가다. 바닷가에서 비키니 수영복 차림의 젖은 몸으로 걸어나오는 본드 걸을 보고 본드는 물론 남성 관객들이 자지러졌다. 초창기 본드 걸은 본드의 놀이 상대로 국한되었기에 예쁘고 섹시하기만 하면 됐다. 미인대회 출신들과 ‘네버 세이 네버 어게인’의 킴 베이싱어처럼 섹시 스타들이 본드 걸을 맡았다.

하지만 “본드 걸이 창녀냐.”는 페미니스트들의 반기에 1990년대 들어 섹시 일변도에서 벗어나 지성을 갖추거나 근육질의 단단한 몸매로 과감한 액션을 마다 않는 여전사로 방향을 틀었다. 본드처럼 공작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도 보여줬다. 그러면서도 본드 걸의 관능적인 면모는 결코 잃지 않았다. 1997년 ‘투모로 네버 다이즈’에서 중국 특수 정보요원으로 등장한 양자경과 2002년 ‘어나더 데이’에서 미국 중앙정보국(CIA) 특수요원 역할을 맡은 핼리 베리가 바로 지적이며 관능적인 신세대 본드 걸로 탄생했다. 백인의 금발미녀에서 흑인과 동양 여성이 본드 걸을 맡으며 인종 차별적 미(美) 인식에서도 벗어났다.

본드 걸의 역할도 본드의 여자친구에서 탈피해 본드의 임무수행에 동기를 부여하거나 파트너십을 발휘하는 등 영역이 한층 넓어졌다. 본드 걸은 단순한 ‘섹스 인형’에서 총칼을 든 여전사로 진화하며 점차 강한 여성의 캐릭터를 보여주고 있는 게 사실이다. 가장 큰 변화는 본드 걸은 아니지만 본드의 상관이자 영국정보국(M16)의 수장인 ‘M’이 여성이라는 점이다. ‘본드 영화’에서 여성의 사회적 의미는 한층 고양된 셈이다.

하지만 여전히 현대의 다양한 여성상을 그려내지는 못하고 있다. ‘골든 아이’에 나오는 본드의 상관 M은 본드에게 이렇게 말한다. “본드 자넨 성차별주의자야, 여자를 혐오하는 괴물. 구시대적 냉전의 유물이기도 하지.” 이 말에 본드의 가슴만 뜨끔한 게 아닐 것 같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2-10-23 3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