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양반의 사과와 역사인식/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문화마당] 양반의 사과와 역사인식/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입력 2012-11-01 00:00
업데이트 2012-11-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재 한국의 족보를 보면, 몇몇 중인 집안을 제외하고는 거의 다 조상이 양반이었음을 명시한다. OO공파 몇 대 손이라고 자부하는 사람을 요즘도 어렵지 않게 본다. 김해 김씨니, 전주 이씨니 하는 수많은 명문가가 우리 귀에 익다. 자기 조상이 상놈이었다고 말하는 가문은 거의 없다. 그렇다. 그래서 이 땅은 아직도 양반의 나라다.

이미지 확대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그런데 18세기 중반에 이르도록 전체 인구에서 적어도 30% 이상은 노비였다. 당시 인구를 대략 1200만~1600만명으로 본다면, 얼추 400만~500만명이 노비, 즉 세 명 중 한 명꼴로 노비였던 셈이다. 지금 당신 주위에 보이는 아무나 두 명을 찍어 보시라. 그러면 당신을 포함해 그 셋 가운데 한 명은 노비의 후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렇다. 이 땅은 노비의 나라이기도 했다. 그런데 지금은 아니다. 이유는 간단하다. 자기 조상이 예전에 노비였다고 자처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국사회는 인간이 인간을 소유하고 구속한 아픈 역사를 이제는 깔끔하게 청산한 것일까?

노비제도가 폐지된 것은 갑오개혁(1894년) 때다. 그러나 그것은 법적인 폐지였을 뿐이다. 사회적으로는 대한제국이 망한 후에야 사라지기 시작해 6·25 전쟁을 고비로 거의 없어졌다. 그래도 그 잔영은 길고 길어, 1960년대까지만 해도 이런 말 듣기가 어렵지 않았다. “저 뒷마을 OOO네는 요즘 잘나간다고 거들먹거리는데, 예전에 우리 집 노비였지.” “왜 하필 OOO네 딸내미냐? 눈에 흙이 들어가더라도 이 결혼만큼은 절대 안 된다.”

가혹한 노예제도를 비교적 최근까지(1863년) 유지했던 미국에는 약자를 보호하는 다양한 법이 있는데, 흑인노예의 후손에게 일부 특혜를 주는 법도 그중 하나다. 이에 대한 반발도 있었지만, 비인간적으로 차별받은 노예의 후손에게 지금 사회가 일부 혜택을 주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공평’이라는 법 해석 덕분에 여전히 유효하다.

이 땅에는 그런 법이 없다. 자기가 노비의 후손이라고 당당히 나서는 이가 없기 때문이다. 어떤 면에서 보면, 근대화 과정에서 신분 세탁이 ‘평화적으로’ 가장 잘된 나라가 아마 한국일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바로 그런 특성 때문에 이 땅에서는 진정한 역사 청산이, 과거사 반성이 없었다. 가해자 측의 진정어린 반성은 전혀 없이, 겉으로만 문제가 봉합된 것처럼 보일 뿐이다. 그래서 역사에서 배우는 바도 적어, 되풀이가 많다.

인간이 인간을 구속하고 소유한 노예제도가 나쁘다고 지금은 모두 인정한다. 미국에서 노예제도에 대해 사과성명 내기를 완강히 거부하던 보수의 대명사 남침례교단조차도 10여년 전에 마침내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는 공식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이런 비슷한 얘기조차 들리지 않는다. 조선시대에 많은 노비를 부리며 떵떵거린 어느 가문에서도 자기 조상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성명을 내지 않는다.

한국에서야말로 그런 성명을 발표하는 게 얼마나 쉬운가? 노비의 후예라고 자처하는 이가 없으니 보복을 당할 염려도 없고, 소송에 휘말릴 일도 없다. 그런 성명을 발표하면 오히려 문중 이름이 언론 뉴스에 오르내리면서 유명해질 테니, 얼마나 득(得)이 많겠는가? 그러나 어느 문중도 말이 없다. 경주 최씨도, 안동 김씨도, 문화 유씨도, 청주 한씨도, 어느 누구도 말이 없다. 오히려 틈만 나면 과거에 엄청난 양반가였음을 자랑한다.

무엇이 진정한 가문의 영광일까? 잘못을 인정하고 새로 출발하는 것 아닐까? 마찬가지로, 요즘 대선의 계절을 맞아 과거사 반성 문제가 떠들썩하다. 이는 역사를 보는 인식과 직결되는 문제다. 현대 인류문명사회의 보편적 가치로 보아 잘못임이 분명한 과거사에 대해서는 결자(結者)가 확실히 사과하고 넘어가야 한다. 그래야 ‘현재완료 진행형’으로서의 역사가 힘차게 전진할 수 있다.

2012-11-01 3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