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DB를 열다] 연탄불 쬐는 아이들

[DB를 열다] 연탄불 쬐는 아이들

입력 2013-01-09 00:00
업데이트 2013-01-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61년 12월 21일 서울 어느 동네 어귀의 모습이다. 조무래기들이 온기가 남아 있는 연탄재에 언 손을 녹이고 있다. 털 외투를 입었거나 털모자를 쓴 녀석도 보인다. 골목에서 놀다가 누군가 연탄재를 내놓자 우르르 모여들었을 것이다.
이미지 확대


연탄은 아직 서민층에서 사용하고 있지만 1970년대까지는 거의 모든 가정에서 쓰는 연료였다. 타고 남은 연탄재는 눈길 미끄럼 방지용으로도 유익하게 쓰였다. 도시가스 보급으로 1990년대 들어 탄광들은 거의 다 폐쇄되었다. 남아 있는 탄광은 강원도의 두 곳뿐이다. 이제 석탄도 부족해 수입해서 쓰고 있다.

연탄은 뚫린 구멍의 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19공탄, 22공탄, 23공탄, 25공탄, 31공탄, 32공탄, 49공탄 등이다. 구멍의 수는 크기와 제조 공장에 따라 다르다. 구멍 수가 많으면 불이 잘 붙고 화력도 세다. 19공탄은 6·25전쟁 후 생산됐다. 구공탄(九孔炭)이라는 이름은 십구공탄에서 십자를 떼고 부른 데서 나왔다. 가정용 연탄의 주종인 22공탄은 ‘㈜삼천리E&E’로 이름을 바꿔 하루 35만장을 찍고 있는 ‘삼천리연탄’에서 1965년 처음으로 만들기 시작했다. 구공탄은 연탄의 대명사처럼 되어 22공탄도 구멍 수와 상관없이 구공탄으로 불린다. 사진 속의 큰 연탄은 업소용인 49공탄으로 보인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1-09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