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금&여기] 하우스푸어에 대한 두 가지 시선/김동현 산업부 기자

[지금&여기] 하우스푸어에 대한 두 가지 시선/김동현 산업부 기자

입력 2013-04-06 00:00
업데이트 2013-04-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동현 산업부 기자
김동현 산업부 기자
‘우리는 중산층’이라는 1990년대 초반 TV 드라마가 기억난다. 월급을 한푼 두푼 모아 겨우 아파트를 한 채 장만해 이사를 온 가정이 이웃들과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였다. 이 드라마에서 주인공들은 빡빡한 살림살이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이 중산층임을 자부하는 이유 중 하나는 자신들이 아파트에 살고 있다는 것이었다. 20여년 전 아파트는 시골 출신 월급쟁이들의 로망이자 중산층 진입의 상징이었다.

그런 아파트가 애물단지가 됐다. 시작은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였다. 잠시 떨어졌다가 다시 오를 것이라는 시민들의 예상은 빗나갔고 5년째 아파트값은 힘을 못 쓰고 있다. 그러는 사이 우리에게 친숙해진 단어가 ‘하우스 푸어’다.

우리 사회에서 하우스 푸어를 바라보는 시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부동산 투기에 편승했던 사람들’이라는 시선이다. 이들은 집값이 앞으로 30~40%가 더 떨어져 서민들이 쉽게 집을 살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나머지 하나는 ‘집 한 채 장만하려다 발목 잡힌 사람들’이라는 시선이다. 이들은 집값이 다시 반등해야 이런 불쌍한 사람들이 구제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하우스 푸어를 하나의 특징을 가진 이들로 바라보기는 힘들다. 수억원짜리 집을 빚을 내 사면서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 않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아이들을 데리고 2년마다 이리저리 이사를 가야 하는 가장이 빚을 내서라도 집을 마련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

대부분 월급쟁이들에게 집은 삶의 공간인 동시에 하나뿐인 자산이다. 한국 사회에서 하우스 푸어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은 이를 간과하고 있다. 스스로 하우스 푸어라고 이야기하는 한 40대 가장은 “집값이 다시 팍팍 뛰어야 한다는 말도, 30~40%씩 떨어져야 한다는 말도 다 저주로 들린다”면서 “그냥 더 이상 집값이 떨어지지 않고 은행이자를 내고 손해를 안 보는 정도면 좋겠다”고 말한다. 아마 대부분의 월급쟁이 하우스 푸어들이 갖는 생각일 것이다.

한 선배에게 “집값은 떨어져도, 올라도 문제”라는 이야기를 했다가 “당연한 말씀”이라는 핀잔을 들었다. 하지만 이 당연한 말씀을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는 별로 없다. 집이 삶의 문제라는 것을 우리는 너무 자주 잊고 사는 것 같다.

moses@seoul.co.kr

2013-04-06 26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