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집사광익(集思廣益)/정기홍 논설위원

[씨줄날줄] 집사광익(集思廣益)/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3-04-06 00:00
업데이트 2013-04-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의 말을 성심껏 듣고 그 말뜻을 제대로 활용하는 것은 금과옥조라 할 만하다. 그것이 곧 소통이요 공감이다. 아래위의 관계가 엄한 조직일수록 윗사람은 말을 많이 들어야 귀가 뚫리고, 비로소 마음이 열리는 법이다. 그제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이 “같이 근무할 적임 실국장과 과장의 이름을 써내라”는 봉투를 직원들에게 돌려 화제를 낳고 있다. 겉봉엔 “친분과 학연, 지연을 생각하지 말고 사심 없이 판단해 달라”는 주문이 적혔다. 인사권을 독자적으로 행사하지 않겠다는 의중이 읽힌다.

동서고금을 통해 수많은 용인술(用人術)이 명멸했지만 우리에게 기억되는 것은 역시 ‘소통’을 앞세운 인사 성공 사례이다. 조선의 세종은 사람을 쓸 때 마음이 착한지를 먼저 보았다고 한다. 재(才)보다는 덕(德)을 소중히 여긴 셈이다. 심성이 어진 이는 처음에는 실수를 하다가도 어느새 능숙해지지만, 재능만 뛰어난 이는 결국 자신의 사사로운 일에 열중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꼭 그런 연유에서만은 아니겠지만 황희 정승 같은 인재가 세종 때 유독 많았던 것도 세종의 소통 용인술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미국의 16대 대통령 링컨은 인재를 등용할 때 품성의 좋고 나쁨을 우선시하지 않았다고 한다. 링컨은 노예제도 폐지 절차 문제를 놓고 의견이 극명하게 갈린 정적 프레더릭 더글러스를 순회특사로 임명했다. 그런 ‘끌어안기식’ 용인술은 남북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지인들이 그가 쓰려는 정적들을 비난하자 링컨은 “누구든지 나를 공격하기를 그만둔다면, 그 사람의 과거사는 잊기로 했다”라는 말로 응수했다.

관료제도가 일찍부터 뿌리 내린 동양에서는 인사권이 절대 권력화되는 한편 그에 종속된 사람은 시녀화되는 일이 다반사였다. 촉나라의 승상 제갈량이 하급관리들에게 내린 글 가운데 ‘집사광익’(集思廣益)이라는 구절이 있다. 생각이 모이면 유익함이 커진다는 뜻이다. 천하의 지략가 제갈량도 인재를 구하기 위해 뭇사람의 의견과 지혜를 모아 유익한 점을 취했던 모양이다. 유 장관의 ‘봉투 인사’도 그와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조직을 책임진 고위 관료일수록 열린 마음의 자세가 필요하다. 그야말로 ‘위대한 커뮤니케이터’가 돼야 하는 것이다.

불통인사라는 말이 더 이상 새롭지 않은 시기이기에 유 장관의 파격적인 ‘인사실험’이 한층 주목된다. 물론 능력과 인기 사이의 간극을 어느 정도 메울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집사광익이 과연 새로운 인사 패러다임으로 정착될 수 있을까.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04-06 27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