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어처구니 이야기/함혜리 논설위원

[씨줄날줄] 어처구니 이야기/함혜리 논설위원

입력 2013-04-17 00:00
업데이트 2013-04-17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처구니’라는 말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어처구니는 ‘상상 밖으로 큰 물건이나 사람을 가리키는 우리말’이다.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어처구니는 ‘엄청나게 큰 기계나 물건 혹은 그와 같은 사람’을 일컫는 말로 쓰였다. 하지만 요즘 우리가 사용하는 뜻과는 아무래도 좀 맥이 닿지 않는다. 그보다는 맷돌을 돌릴 때 쓰는 나무 손잡이, 혹은 바위를 부수는 농기계의 쇠로 된 머리 부분을 가리킨다는 설이 관용적인 의미에 더 가깝다.

궁궐 전각의 추녀마루에 올려 놓은 다양한 형상의 흙으로 된 조각물도 어처구니라고 한다. 약속이나 한 듯 나란히 줄지어 앉아 먼 하늘을 바라보기도 하고 고개를 들거나 숙이고 있는 물상들을 조선시대 국가 문서에서는 잡상(雜像)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잡상은 저마다 독특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외형상 구체적인 특징을 지닌다. 조선 중기 야담류의 효시인 유몽인의 ‘어우야담’(於于野譚)에 따르면 어처구니는 대당사부, 손행자, 저팔계, 사화상, 이귀박, 이구룡, 마화상, 삼살보살, 천산갑, 나토두 등이다. 대부분 중국 고전소설 ‘서유기’에 나오는 주인공과 땅의 신과 관련된 이름이다. 우리나라 건축물에서 언제부터 잡상이 활용됐는지 확실한 기록은 없지만 고려 불화 속의 궁전 건물에도 잡상과 유사한 물상이 등장하는 것으로 미뤄 고려시대부터로 추측한다.

조선시대에는 기와 제조관서인 와서(瓦署)에 기와를 만드는 와장(瓦匠) 외에 별도로 잡상장을 두어 잡상 제작에 힘을 쏟았다. 장식적인 기능은 물론 궁궐 지붕 경사진 추녀마루의 기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궁전의 나쁜 기운을 물리치며 건축물을 수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여겼기 때문이다. 중국 고대 건축물에서 지붕에 잡상을 배치한 것도 같은 이유다. 벽사의 기능은 당 태종이 밤마다 꿈에 나타나 기와를 던지며 괴롭히는 귀신을 쫓기 위해 문·무관 형상을 만들어 지붕 위에 올린 것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장인들이 궁궐 공사의 마무리로 어처구니를 올리는데, 이걸 실수로 잊어 버리면 그게 바로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윤진숙 해양수산부장관 후보자에 대해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식물장관이 될 우려가 있다”고 하자 윤 후보자는 “어처구니가 없다”며 반박했다. 여당 관계자는 “어처구니가 없다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다”고 혀를 찼다. 자질 논란에 이어 할 말, 못할 말도 가리지 못하는 사람이 장관이 되어 어처구니없는 일을 벌이지나 않을지 걱정이다.

함혜리 논설위원 lotus@seoul.co.kr

2013-04-17 3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