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카드사 신뢰회복이 먼저다/김성수 경제부장

[데스크 시각] 카드사 신뢰회복이 먼저다/김성수 경제부장

입력 2014-01-21 00:00
업데이트 2014-01-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성수 산업부장
김성수 산업부장
“고객님! 거짓말이 아니고요. 저도 농협직원이지만 카드번호, 유효기간 등 제 개인 정보도 다 유출됐거든요. 그래도 카드가 복제되거나 그러는 건 아니니까 믿어주세요.“

NH농협카드를 갖고 있는 기자가 ‘14관왕(카드번호, 유효기간 등 14건의 정보유출)’에 당당히(?) 오른 사실을 확인한 뒤 농협에 전화를 걸어 “내 정보가 범죄에 악용되는 것 아니냐“고 묻자 다급한 목소리의 여직원은 이렇게 말했다. 지난 토요일(18일) 아침의 일이다.

직원은 “사과드린다”는 말을 연신 하면서도 “당사의 잘못은 아니며 신용정보 회사의 직원이 정보를 몰래 빼돌려 일어난 일”이라는 사실을 유독 강조했다. 회사에서 그렇게 교육시켜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대한민국 성인 중 카드를 가진 사람들은 거의 전부가 신상이 다 털려 ‘멘붕’에 빠진 상황에서도 책임회피에만 너무 급급한 게 아니냐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정작 “유출된 내 카드번호와 유효기간만으로도 물건을 구입할 수 있지 않느냐” “2차 유출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되고, 농협은 어떤 조치를 준비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잘 모르겠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지난 주말 포털사이트에는 하루 종일 농협카드 등 3개 카드사의 정보유출이 실시간 1~3위 검색어를 차지했다. 그만큼 전무후무한 뉴스로, 실제로 주변에 아는 사람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피해자가 됐다. 얼굴만 안 알려졌을 뿐 모든 신상정보가 다 까발려졌다. “울 엄마도 모르는 내 정보가 다 털렸다”, “유출은 됐는데 (시중에) 유통은 안 됐다는 걸 어떻게 믿겠나”, “신용카드사가 다 있는데 신용만 없더라”는 다소 감정적인 트위터의 글들에 격하게 공감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걱정이 되는 건 이번에 1억건이 넘는 정보가 유출된 농협 등 카드 3개사는 단지 운이 없었다는 점이다. 정보유출에 취약한 것은 다른 카드사나 시중은행, 외국계은행도 다 마찬가지다. 현재로서는 언제든, 어느 금융기관에서든 똑같은 정보 유출 사건이 재발할 수 있는 구조다. 금융소비자들의 불안감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정보 유출과 관련해 최고 600만원의 과태료 부과가 전부였던 금융당국의 ‘하나마나한’ 징계도 이번 사태를 부추겼다. 그래서인지 이번에는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징계, 영업정지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개인정보 보호를 허투루 해온 금융기관들에 이런 사건이 또 일어나면 보안시스템 구축에 들어가는 몇 배의 비용을 물게 될 것이라는 위기감을 심어줄 필요는 있다. 하지만 단순히 사후에 징계를 강화하는 것보다는 이런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미리 금융기관 스스로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

그래야 옛날처럼 해킹 때문도 아니고, 외부 용역직원이 고객정보를 휴대용저장장치(USB)에 담아 빼내온 뒤 버젓이 외부에 팔아 먹는, 이런 코미디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는다. ‘개인정보유출→사장단 합동사과→금융당국, 일벌백계 및 재발방지 약속→유출사건 재발’이라는 익숙한 패턴을 매번 반복할 수는 없는 일이다.

모든 금융기관들은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는 자세로,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잘못된 관행을 뿌리째 뜯어고쳐야 한다. 만약 ‘이 또한 지나가리니’라는 얄팍한 생각으로, 일단 ‘소나기만 피하고 보자’는 식의 대응을 한다면 같은 사건이 또 발생하고 국민들의 신뢰도 영원히 잃게 될 것이다. 고객들이 등을 돌린 기업은 결국 문을 닫는다는 것이 만고불변의 진리다.

sskim@seoul.co.kr
2014-01-21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