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정부3.0과 콘텐츠산업/홍상표 한국콘텐츠진흥원장

[기고] 정부3.0과 콘텐츠산업/홍상표 한국콘텐츠진흥원장

입력 2014-08-20 00:00
업데이트 2014-08-20 03: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홍상표 한국콘텐츠진흥원장
홍상표 한국콘텐츠진흥원장
세계적인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그의 저서 ‘부의 미래’에서 21세기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상황을 ‘속도의 충돌’이라고 정의했다. 기업은 시속 100마일의 속도로 혁신을 거듭하고 있지만 정부와 관료조직, 정책과 법 제도는 30마일도 안 되는 속도로 거북이걸음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첨단 기술과 빅데이터 등 정보기반 지식경제를 주축으로 하는 제3의 물결이 이미 도래했는데도 정부나 기관은 아직 제2의 물결이 출렁이는 산업화 시대에 머물러 있는 불일치가 국가 경쟁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경고이기도 하다.

해외 선진국들은 정부의 혁신 없이는 글로벌 무한 경쟁시대에 승자가 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일찍부터 혁신을 주도해 왔다. 미국은 오바마 대통령의 주도로 2009년 정부기관 전체가 나서 데이터 통합 웹사이트 ‘data.gov’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2001년부터 정부 데이터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호주 정부는 2010년 7월 ‘열린 정부 선언’을 발표하면서 공공정보를 더욱 적극적으로 공개하기 시작했다. 미국과 호주는 이런 새로운 정부운영 패러다임을 ‘개방과 공유의 정부’라는 의미를 담아 ‘정부2.0’이라고 명명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6월 ‘정부3.0’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1.0’이 공급자인 정부가 중심이 돼 효율성을 추구하는 정부운영 패러다임이라면, ‘정부2.0’은 국민을 중심에 두고 양방향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주적인 정부운영 철학을 담고 있다. 정부3.0은 국민 개개인을 중심에 놓고 과감한 정보의 개방과 공유를 바탕으로 국민의 행복을 위한 맞춤형 정책과 행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다. 정부3.0의 핵심 가치는 정부의 투명성 확보, 국민과 시장의 참여 활성화다.

생각해보면, 콘텐츠 산업만큼 개방·공유·소통·협업이라는 정부3.0의 핵심가치에 어울리는 분야도 없을 것이다. ‘강남스타일’의 성공 비결은 가수 싸이가 음원과 뮤직비디오를 유튜브를 통해 과감히 개방하고 전 세계 네티즌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패러디 동영상을 만들어 참여하고 소통한 것이었다. 또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게임의 결합이 막대한 부가가치를 내고 있는 것처럼 콘텐츠 산업은 정보통신기술(ICT)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 쉽게 융합해 커다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분야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정부3.0 기조에 맞춰 수요자 중심의 사업운영과 현장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진흥원의 도서관, 공연장, 세미나실 등 내부 시설을 국민들에게 과감히 개방해 참여와 소통, 협업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방송 시나리오를 디지털화해 무료열람 서비스를 하는 등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고 있다. 특히 올해 5월부터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있는 국민 누구나 자유롭게 찾아와 콘텐츠를 창작하고, 나아가 창업까지도 도전할 수 있는 콘텐츠코리아 랩 제1센터를 서울 대학로에 운영하고 있다. 정부3.0에 입각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정책적 지원과 응원이 대한민국 콘텐츠 산업 3.0의 미래를 구체화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4-08-20 3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