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목희칼럼] MB·朴 갈등관리법

[이목희칼럼] MB·朴 갈등관리법

입력 2010-02-18 00:00
업데이트 2010-02-18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국이 심하게 꼬일 때면 생각나는 이가 있다. 허주(虛舟) 김윤환. 그가 살아 있어 정치를 계속했더라면 세종시 정국에서 어떻게 했을까. 이명박 대통령을 만나 박근혜 전 대표 욕을 한참 할 것이다. 국가백년대계를 생각 않는다고. 면담이 끝날 때쯤에 그가 지나가는 듯 한마디를 날린다. “근데, 박 전 대표에게도 정치적인 퇴로는 열어줘야지요. 교육과학기술부 정도를 이전하는 게 어떨까요.”

이미지 확대
이목희 논설실장
이목희 논설실장
허주가 다시 박 전 대표를 만난다. 이번에는 이 대통령 흉을 본다. “약속을 지키자는 박 전 대표 말이 옳다.”는 톤으로 일관하다가 끝은 반전이다. “임기가 한참 남은 이 대통령의 체면을 살려주는 게 박 전 대표의 대권가도에 득”이라고 설득한다.

여권의 1, 2인자 갈등은 언제나 드라마틱하다. 특히 박 전 대표처럼 강력한 2인자가 1인자를 공개리에 치받을 때는 더말할 나위가 없다. 6공(共) 당시 노태우 대통령과 김영삼(YS) 여당 대표 사이의 갈등 양상이 지금과 비슷했다. 사실 그때가 훨씬 험악했다. 자고 일어나면 분당과 탈당 얘기가 난무했다. 오죽했으면 열 받은 노 대통령이 신경성 설사병에 걸렸을까. 그래도 깨지지 않고 3년여를 굴러간 중심에 허주가 있었다. 김동영·최형우·박준병·김용환 등 중진들이 허주의 중재를 음으로, 양으로 도왔다.

정치권 물갈이가 빨라지면서 1, 2인자 사이를 오갈 중진이 안 보인다. 얼마전 진영 한나라당 의원의 상갓집. 박재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이 친박계의 구상찬 의원에게 세종시 수정의 당위성을 열심히 설파했다. 돌아온 것은 핀잔뿐. 박 수석도, 박형준 정무수석도 기획력을 갖췄고 몸을 아끼지 않는 형이다. 그러나 친박계에 무게 있게 다가서기엔 힘이 부친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 사이를 오갈 중진을 만드는 게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다. 총리를 지낸 원로급 인사가 청와대의 부탁을 받고 박 전 대표 설득에 거의 성공할 뻔했다는 얘기도 있긴 하다. 그러나 꾸준하고 집요하게 중재를 하려면 역시 현역 정치인이 낫다. 중량감과 중재 아이디어를 가진 이들을 아쉬운 대로 찾을 수 있다. 박희태·김덕룡·홍사덕-. 정치 인생을 정리해야 할 연조에 들어선 그들에게 역할을 주면 어떨까.

그것 말고도 노태우-YS 갈등관리법에서 참고로 할 부분이 또 있다. 1, 2인자의 정례회동이 그때 시작되었다. 대통령과 여권 중진과의 회동 자리를 수시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박 전 대표와의 독대 시간을 자연스레 늘리면 된다. 사전 중재 없이 세종시만을 위한 일회성 담판회동을 가지라는 제안은 양인에게 큰 부담을 줄 뿐이다.

아군을 상대 진영 한가운데 넣는 방안도 6공 때의 정치기획이었다. 신경식·최창윤 등 당시 노태우 대통령 사람이면서 YS에게 거부감이 덜한 이들이 YS의 비서실장으로 들어갔다. 친박계 핵심 인사를 장차관, 청와대 참모로 기용하는 대신에 친이계 인사가 박 전 대표 조언자로 들어가는 방안을 실현 불가능하다고 미리 선을 그을 일은 아니다.

‘대권은 이어받는 게 아니라 쟁취하는 것’이라는 명제가 맞을 수 있다. 하지만 대선까지 길이 멀다. 후계자, 정권 재창출은 아직 이른 얘기다. 요동을 쳐도 몇번은 더 요동을 칠 것이다. 그보다는 당장 국정이라는 쪽박을 깨서 국민들을 괴롭히지 말자는 데 공감대를 이루어야 한다.

지난 대선에서 유력한 후보로 떠오르다가 중도포기했던 인사의 언급이 새롭다. 그는 대권행보를 멈춘 이유를 두세 가지로 요약했다. 정치인들의 지지가 낮 다르고, 밤 달랐다고 했다. 무엇보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자신을 비난하자 정치자금이 들어오질 않더라고 했다. “다른 곳은 몰라도 기업쪽은 현직 대통령의 입김이 굉장하더라.”고 토로했다.

차기 대권 레이스가 3년이나 남은 상황에서 한 번의 전투 승리가 전쟁의 승리를 담보하지 못한다. 청와대와 박 전 대표 측 모두 전략적 사고를 갖길 바란다.

mhlee@seoul.co.kr
2010-02-18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