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고전의 재해석에서 창조를 찾자/석호익 KT 부회장

[CEO 칼럼] 고전의 재해석에서 창조를 찾자/석호익 KT 부회장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석호익 KT 부회장
석호익 KT 부회장
오래된 영화나 연극, 음악을 다시 공연한다는 의미의 단어인 리바이벌(Revival). 나 같은 7080 세대에게는 상당히 익숙하겠지만 요즘 젊은 세대들에게는 ‘리메이크’(Remake)가 더 친근하지 않을까 싶다. 리바이벌과 리메이크,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리바이벌은 추종자의 입장에서 고전을 답습하는 것인 데 반해 리메이크는 재창조자의 입장에서 새로운 해석을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즉 재연하는 주체가 새로운 가치를 가지고 해석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확연한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요즘 재계나 문화계를 불문하고 리메이크가 사람들의 마음을 뒤흔들고 있음을 목격할 수 있다. 가수들이 경연하는 한 TV 프로그램의 노래들은 최신곡이 아닌데도 청중들로부터 열광을 받는다. 왜일까? 단순히 향수를 불러일으켜서만은 아닐 것이다. 내가 알던 노래가 또 다른 공연자에 의해 색다르게 거듭나 다가올 때 감동과 감탄을 느끼게 된다.

재계에서도 이와 유사한 트렌드를 찾아보는 게 어렵지 않다.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가 대표적이다. 애플의 제품들이 나오기 전 이미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제품들은 세상에 존재했었다.

그러나 애플은 뛰어난 직관력으로 기기와 이용자 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을 채택하고, 기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유통하는 플랫폼(앱스토어)을 구현해 시장과 소비자들을 매료시켰다. 기존 기기의 본질은 유지하면서도 고객 체험이란 새로운 가치를 극대화해 콘텐츠 개발자 및 사용자를 연결하는 ‘신세계’를 창조했다. 이로 인해 애플은 모바일 기기와 콘텐츠 유통의 아이콘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

흔히 창조나 혁신을 얘기할 때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천지개벽’할 발명이나 발견을 떠올린다. 물론 지금껏 볼 수 없었던 획기적인 신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면, 시장에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이 자명하다. 하지만 이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실제 글로벌 시장에서 히트한 상품의 경우 새로운 창조보다는 기존 제품이나 고전을 재해석 또는 재창조한 것이 상당히 많다.

그렇다면 기업들이 효과적으로 재창조와 혁신을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몇 달 전 읽었던 한 책에서 그 단초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핵심에 이르는 혁신’(Innovation to the Core)이라는 책에서 저자인 피터 스카진스키는 새로운 인식의 렌즈를 통해 인사이트(통찰력)를 찾으라고 조언한다. 특히 그는 시장과 기업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파고들라고 말한다. 재창조의 첫걸음은 결국 ‘우리 회사는 이래야만 돼.’ 같은 딱딱한 생각을 버리고 유연하게 사고하는 데 있다.

둘째로 경영자를 비롯한 기업의 구성원들이 다양하면서도 신선한 시각과 영감을 가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업무수행을 위해 경영 관련 또는 전공·실용 서적을 즐겨 읽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되는데 인문 고전 등으로 범위를 넓히면 좋지 않을까 싶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베토벤, 아인슈타인 등 역사에 빛나는 창조적 인재들은 모두 인문 고전을 즐겨 읽었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나 페이스북을 만든 마크 저커버그도 인문서를 필독서의 우선으로 꼽고 있다. 단순히 생각할 때 경영이나 실용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인문서를 읽음으로써 고객의 내면과 그들이 원하는 가치, 사회의 흐름을 짚어 낸다면, 재창조 작업에서 절반의 성공은 거두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전은 고리타분하고 현실과 동떨어진 것으로 치부하기 쉽다. 기존 제품들은 이미 익숙해졌다며 거들떠보지 않기도 한다. 그러나 한 발 물러서서 새로운 가치와 영감을 불어넣으려고 노력해 보라. 단순히 “올디스 벗 구디스(Oldies but Goodies·옛것이 좋아)!”를 넘어서는 기대 이상의 갈채를 받을 수 있는 재창조와 혁신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2011-07-25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