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옴부즈맨 칼럼] 교육적 사유를 담은 신문을 꿈꾸며/강용철 경희여중 교사

[옴부즈맨 칼럼] 교육적 사유를 담은 신문을 꿈꾸며/강용철 경희여중 교사

입력 2014-02-19 00:00
업데이트 2014-02-19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강용철 경희여중 교사
강용철 경희여중 교사
미국의 교육전문가인 마크 프렌스키는 디지털 기기를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스럽게 접하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세대를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라고 지칭했다. 이 땅의 교사로서 교육현장을 바라보면, 우리가 가르치고 키우는 학생들은 실로 혁신적인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할 수 있다. 아이들은 늘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사이버를 통한 만남을 친숙하게 여기고 있다. 정보를 습득하고 활용하는 기술과 방법이 나날이 향상되고 있으며, 각종 전자 매체를 지우(知友)라고 여기며 함께 살아가고 있다.

이런 디지털 세대들은 과연 요즘 어떻게 뉴스를 접할까. 이들은 대게 포털사이트에서 게이트키핑(언론사가 만든 뉴스를 포털사이트에서 취사선택해서 올리는 것)된 뉴스를 만나는 경우가 많다. 언론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물어보아도, 직접 신문사나 방송사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뉴스를 보거나 종이신문을 통해 정밀하게 기사를 읽는 경험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학생들에게 독서와 신문 읽기를 강조하는 필자로서는 신문이 어떤 모습으로 독자에게 다가가야 하며, 특히 우리 학생들을 위해 어떤 기여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원론적인 질문이 생기곤 한다.

옴부즈맨 칼럼을 맡고 나서 ‘문화’와 ‘교육’의 관점에서 돋보기를 든 마음으로 서울신문을 열독해 보았다. 지난 1월 28일 ‘즐거운 책 읽기’에서는 김연수, 하성란 등 맛깔스러운 필체를 지닌 작가들의 단편소설을 실어서 따뜻한 설 선물을 받은 기분이었다. 또한 최근 매주 화요일에 등장한 ‘읽어라 청춘’에서는 고전과 명저를 중심으로 책을 소개하여 독서를 문화의 영역으로 확대하려는 움직임도 볼 수 있었다.

또한 교육의 관점에서는 새 학기를 맞이한 학생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첨부하거나, 입시에 대한 정밀한 정보를 주는 등 시의적절한 기사도 눈에 띈다. ‘김문이 만난 사람’에서는 다양한 인물들을 심층 취재하여 소소한 일상의 가치와 삶의 의미를 담고 있어 학생 진로 교육에도 유의미한 측면이 있다.

이렇게 좋은 문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여 문화의식을 고양하거나, 적절한 교육 관련 내용을 제시하여 예비독자인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도움을 주는 점도 신문이 추구해야 할 특화된 방향이라 하겠다.

앞으로 서울신문이 ‘문화가 숨 쉬는 신문, 교육적 사유를 담은 신문’이 되기를 희망하며 몇 가지 제언을 던져 본다.

첫째, 문학작품을 소개하는 부분은 일회적으로 끝나지 않고 독자들의 냉철한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정례적인 독서 영역으로 자리를 잡거나 좀 더 범위를 넓혀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다루는 영역으로 자리 잡았으면 한다.

둘째, 교육과 관련된 기사를 분석해 보면 조언하는 전문가들이 사교육이나 업체와 관련된 경우가 많은데, 학교 현장의 교사나 공교육 전문가의 의견도 함께 담아주었으면 한다. 또한 교육공동체의 관점에서 학생, 학부모의 의견도 담아서 활용성이 높은 공감형 정보를 제공했으면 한다.

셋째, 교육계의 화두가 되는 문제나 특화된 교육 현상을 특집의 형태로 심층적으로 취재했으면 한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빠진 학생들, 언어폭력과 사이버폭력의 문제, 배움 중심의 가르침을 통한 수업 혁신 등 굵직한 무게감을 가진 교육 이야기를 앞으로 더욱 기대해 본다.
2014-02-19 30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