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원칼럼]설 민심의 실체와 변질/정인학 언론인

[객원칼럼]설 민심의 실체와 변질/정인학 언론인

입력 2010-02-16 00:00
업데이트 2010-02-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번에도 설 민심은 전하는 이마다 달랐다. 하나같이 고향의 마음이라고 규정했지만 악센트를 찍은 관점이 달랐다. 달라도 크게 달랐다. 고향의 마음은 똑같은 하나였을 테니, 고향의 마음을 들여다 본 속내가 달랐을 것이다. 옥타브 높은 목소리만 들었거나 코끼리 더듬듯 한쪽만 만지고 전체라고 우겨대는 까닭일 것이다. 유독 그늘진 구석을 들여다 보았거나 고향의 소리를 아예 듣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설 민심을 말하면서 너나없이 국민을 앞세우고 국가의 백년대계를 내세운다. 고향의 마음을 개인적인 관점으로 각색해서 설 민심으로 객관화했음을 실토하는 자기 고백일 것이다.

이미지 확대
정인학 언론인
정인학 언론인
세상에 객관적인 결론이란 애당초 있을 수 없다. 세상의 모두를 조망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거니와 세상의 모두를 들었다 해도 세상의 소리를 듣는 순간 개인적인 판단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세상의 소리는 나의 목소리로 변질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가 보고 듣는 대상의 실체만큼은 있는 그대로 인정해야 한다. 저마다 판단을 달리할지라도 판단의 전제가 되는 객체만큼은 실체를 같이 인식해야 한다. 임진왜란을 앞두고 일본을 탐색하고 돌아와서 아예 침략의 조짐 자체가 없다고 주장한 사람을 두고두고 비판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10만 양병의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하더라도 침략의 조짐만은 인정하고 그 대비책을 다투는 게 옳았을 것이다.

설 귀성이 절정으로 치닫던 날, 귀성의 치열한 현장이었던 서울역과 용산역은 엉뚱하게 홍보전 한마당이었다고 한다. 정당의 대표들이 몰려나와 이벤트를 펼치는가 하면 무슨무슨 단체들이 저마다의 구호를 외쳤다고 한다. 모처럼 많은 사람들이 모인지라 저마다의 주장이나 입장을 국민들에게 호소하려 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전하는 설 민심이 400여년 전 일본을 탐색했던 그 사람들만큼이나 다른 것을 보면서 생각이 바뀌었다. 고향의 마음을 있는 그대로 보고 듣기보다는 각색된 설 민심으로 변질시키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이었던 것 같다는 의구심이 일었다. 귀성길 마음을 자기의 주장과 외침으로 물들이고, 고향의 마음마저 주관적인 의견과 입장으로 변질시키려 하지 않았느냐는 것이다.

설 연휴가 시작되기 직전의 신문들을 읽었다. 실업률이 5%로 지난해 이맘때 보다 1.4%포인트 높아졌다고 했다. 일자리를 찾지 못한 젊은이들이 산업활동의 대열에 합류하지 못하면서 산업활동 연령별 인구 구성을 왜곡시킬 우려가 있다고 했다. 설날을 앞두고 일자리를 잃은 중년은 귀성을 포기하면서 일감이 많아 바쁘다는 눈물겨운 핑계를 댔다는 얘기도 실렸다. 그런가 하면 공기업의 부채가 급등하고 있다는 기사도 눈에 띄었다. 실향민들의 한 서린 고향 노래도 신문 한편을 메웠다.

고향을 오고 가는 길은 무척 힘들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8시간30분 걸린다고 했지만, 그건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톨게이트까지 그랬다는 것이지 실제로는 하루가 꼬박 걸렸을 것이다. 설 민심을 빙자하여 고향의 마음을 변질시키려는 시도는 이렇게 힘겹게 고향을 다녀온 국민들을 우롱하는 오만이다. 명절은 부모형제들이 자리를 같이하며 허심탄회하게 이런저런 속내를 주고받는 직접 커뮤니케이션의 현장이다. 생각의 변질은 있을 수 없고 고향 마음의 실체만이 있을 뿐이다. 푸념처럼 주고받는 일상적인 얘기였지만 어떻게든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는 웅변이었을 것이다. 신의 직장이라고밖에 표현을 못했지만 저마다 빚을 얻어다 흥청망청 돈을 써대는 공기업의 무책임한 행태를 질타했을 것이다. 하루하루를 사는 민초들이 국민을 어떻게 알 것이며, 국가의 백년대계를 가늠이나 하겠는가.

고향의 마음을 곱씹어 새긴다면 나름대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려면 고향의 마음 실체만큼은 외면하거나 변질시키려 해서는 안 된다. 당장 손쉬운 대로 “일본은 침략하지 않을 것”이라는 식으로 우겨대서는 안 될 일이다.
2010-02-16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