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30 세대] 폭력의 물타기/한승혜 주부

[2030 세대] 폭력의 물타기/한승혜 주부

입력 2019-05-02 17:20
업데이트 2019-05-02 23: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승혜 주부
한승혜 주부
라디오를 켜자 화가 난 남성이 소리를 지르고 있었다. “지금 몇 시야! 내가 일찍 다니라고 말했잖아!” 알고 보니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가 데이트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새로 제작한 공익광고였다. 광고는 남성과 여성의 목소리를 번갈아 등장시키며 “누구랑 연락했어? 핸드폰 이리 줘 봐”, “그런 옷 입지 말라고 몇 번 말해. 다른 사람이 쳐다보는 거 싫다 그랬지”, “내가 그 모임 싫다 그랬지. 신경 쓰이게 하지 마”라는 대사를 읊는다. 마지막 마무리는 이렇다. “사랑하는 척하지 마세요. 데이트 폭력, 강요와 통제에서 시작됩니다.”

시대변화에 맞추어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도 개선하려는구나 애써 좋은 마음을 가져 보려 했지만, 이상하게 뒷맛이 씁쓸했다. 나중에야 왜 그토록 찜찜한 기분을 느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많은 남성이 해당 광고를 환영하며 말했다. “남성천대시대에 성비균형을 맞춘 이런 광고가 나오다니” “여친한테 구속이랑 집착 당해 본 사람들은 기분 알죠”, “매번 여자만 피해자로 나와서 불편했는데 간만에 정상적인 광고가 나왔군요.”

이 광고에는 두 가지 주요한 문제점이 있다. 아마도 여론을 의식해 매우 신중하게 조합했을 동등한 성비는, 청취자로 하여금 성별과 무관하게 누구나 데이트 폭력 문제를 비슷하게 겪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만든다. 물론 여성 가해자와 남성 피해자 역시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여성의전화에 따르면 신고가 접수된 거의 모든 사건(94.3%)의 피해자가 여성이었다고 한다. 가해자의 대부분은 그들의 배우자와 애인 및 데이트 상대인 남성이었다. 실질적인 피해자의 대다수가 여성인 상황에서 공익광고 속 성비를 철저하게 맞추는 것이 과연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피해를 예방하는 데 정말 도움이 되긴 하는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려는 본래의 목적과 다르게 오히려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 자체를 경미하게 만들어 버린다. 마치 남녀 사이의 가벼운 사랑싸움인 양. 물론 사랑하는 척, 걱정하는 척 상대를 통제하고 강요하는 행위 역시 폭력이 될 수 있다는 광고의 메시지는 엄밀하게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는 되려 지금 이 시간, 실제로 심각한 폭력을 당하고 있는 많은 이들의 상황을 순식간에 잊혀지게 하고 만다.

다른 남자와 만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한 남자친구의 칼에 여성이 찔려 죽은 사건이 불과 몇 달 전이다. 인터넷에는 어떻게 하면 ‘무사히’ 애인과 헤어질 수 있을지 고민하는 여성들의 상담 글이 가득하다. 누군가 광고 속 성비가 알맞다고 흡족해하고 있을 상황에 어쩌면 다른 누군가는 생명의 위협을 느끼며 떨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기계적인 평등과 중립의 강조는 종종 문제의 본질을 흐린다. 이 광고를 들을 때마다 나는 여자친구를 때린 뒤 “네가 나한테 자꾸 강요하고 간섭하니까 그런 거잖아. 너 그런 것도 데이트 폭력이다”라고 말하는 사람의 모습을 자꾸만 상상하게 된다.

2019-05-03 2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