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굿! 독거노인 공동생활제/최용규 메트로부장

[데스크 시각] 굿! 독거노인 공동생활제/최용규 메트로부장

입력 2013-01-08 00:00
업데이트 2013-01-08 0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렇게 칙칙하고 답답한 영화를 끝까지 볼 줄 나도 몰랐다. 드라마틱한 요소라고는 어디 하나 찾을 수 없고 어두운 그림자만 짙게 깔린 ‘볼케이노’(Volcano).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갈 때까지 눈을 떼지 못한 것은 주인공 하네스가 우리들, 어쩌면 20~30년 후 내 모습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었던 것 같다.

이미지 확대
최용규 메트로부장
최용규 메트로부장
 37년간 학교 수위를 하다가 은퇴한 하네스. 가끔 집에 찾아오는 아들과 딸은 그에게 관심조차 두지 않는다. 말을 걸어보지만 냉대와 무시가 비수처럼 꽂힐 뿐이다. “어릴 땐 (아빠가) 좋았는데 지금은 소름끼쳐.”(딸 텔마) “노친네 있을 때는 웬만하면 안 오고 싶어.”(아들 아리) 우연히 듣게 된 아들과 딸의 대화는 그를 고독의 수렁으로 깊숙이 밀어넣는다. 짜증내고 툴툴거려도 큰소리 내지 않고 받아주는 아내 안나는 이제 하네스에게 남은 유일한 안식처다. 그런데 갑자기 찿아온 안나의 심각한 뇌졸중. 사지가 마비된 어미의 방에서 냄새가 난다며 창문을 열 것을 요구하는 아들, 요양원에 보내는 게 어떠냐는 딸…. 하네스는 회복될 가망이 없는 아내의 얼굴을 베개로 누른다. 아내를 땅에 묻고 북대서양 바닷가 절벽으로 발걸음을 옮긴 주인공은 자신에게 곧 닥칠 병마와 고독을 스스로 끊어낸다.

 러닝타임 94분, 그러나 마음이 돌덩이 같다. 이게 어디 딴 나라, 영화 속 얘기라고 치부할 수 있을까. 아니다. 실존이다. 늙고 볼품없는 아이슬란드 하네스는 바로 우리 노인의 모습이다. 독거노인 120만명 시대다. 지난해 말 118만 7000명이니 전체 노인 5명 중 1명이 독거노인이란 얘기다. 그러나 이들은 소득, 건강, 사회관계 등 다방면에서 위기상황에 놓여 있다. 돌봄을 받아야 할 대상이지만 사회적, 재정적 여건은 그들의 바람과 비켜나 있다. 복지예산 100조원 시대라는 구호가 이들을 안도하게 할지 정말이지 의문이다. 잊을 만하면 신문·방송에 나오는 독거노인의 안타까운 죽음이 역설적으로 웅변한다. 죽은 독거노인은 자식도 이웃도 아닌 ‘냄새’가 알려준다는 기막힌 현실이 바로 우리사회다.

 이런 차에 서울신문이 보도한 충남 공주와 청양의 ‘독거노인 공동생활제’는 귀가 번쩍 뜨이는 뉴스다. 갑자기 아프거나 혼자라는 생각은 독거노인의 가슴을 오그라들게 하는 두려움일 것이다. 공주 최숙려(80) 할머니는 이런 불안과 공포를 이웃 할머니들과의 공동생활로 말끔히 씻어냈다고 한다.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발견한 듯 눈앞이 밝아지는 느낌이다. 청양군 경로복지계 조형민씨는 도 시책으로 도입했는데 노인이나 군청 입장에서 다 이득이라고 한다. 공동생활을 하는 노인들은 안전, 외로움, 밥 걱정에서 해방돼서 좋고, 군은 한데 모아서 관리하다 보니까 예산이 절감돼 좋다는 것이다. 현재 노인돌봄종합서비스가 있지만 전화로 안전 확인만 할 정도이지 일일이 찾아보긴 어렵다는 게 현장의 고백이다. 그렇다고 재정형편이 빤한 지자체가 노인들의 공동생활을 지원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요청하는 데가 많지만 돈이 없어 확대하지 못한다는 조형민씨의 말이 이런 현실을 반영한다. 공동생활을 하는 노인들도 지원금을 한푼도 허투루 쓰지 않는다고 하니 돈이 샐 걱정도 없다. 도의 시책을 넘어 정부 정책으로 추진해 봐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복지를 강조하는 박근혜 정부에서 한번 택해 봄직 하지 않은가.

ykchoi@seoul.co.kr

2013-01-08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