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한·일, 더 늦기 전에 ‘과거사 힐링’해야/이기철 국제 부장

[데스크 시각] 한·일, 더 늦기 전에 ‘과거사 힐링’해야/이기철 국제 부장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5-09-10 17:58
업데이트 2015-09-10 18: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은 진심 어린 사과를 한 적이나 있나.’

‘한국은 사과를 받아들일 용의가 돼 있기는 한가.’

이기철 국제부장
이기철 국제부장
평범한 한국인과 일본인 대다수가 상대 국가에 대해 품은 속마음이다. 과거사에 대한 생각과 입장이 한·일 국민 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런 차이는 수치로도 확인된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을 하루 앞둔 지난달 1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발표한 담화에 대해 서울신문이 도쿄신문과 공동으로 여론을 조사한 결과 한국인 79.7%가 “충분한 사과를 담지 않았다”며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일본인은 “과거 담화를 계승했다”며 39.6%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같은 사안에 대해 양국의 정서 차이는 당연하다고는 생각하지만 그 간극은 너무 크다. 이런 연유로 “한국과 일본은 과연 친구가 될 수 있을까” 하는 회의감마저 든다.

심각한 점은 양국 국민이 상대 국가에 대해 느끼는 서먹함이 심화됐다는 것이다. 한국인은 10년 전인 2005년 7월 조사에서 10명에 6명꼴로 일본에 대해 친밀감을 느끼지 못했으나 지금은 8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일본 역시 3명에서 5명으로 한국에 대한 친밀감이 사라졌다. 상대 국가에 친밀감을 느꼈다는 항목에서 한국은 3명에서 1명으로, 일본은 6명에서 3명으로 줄었다. 무관심도 문제다. 일본에 대해 ‘모르겠다’거나 ‘관심이 없다’는 답변이 한국은 2명으로 10년째 제자리걸음이지만 일본은 한국에 대한 무관심이 1명에서 2명으로 늘었다.

과거사에 대한 인식 격차와 상처로 친밀감이 엷어졌지만 실낱같은 희망도 보였다. 한국에 대한 친근감은 일본의 30~40대 여성층에서 가장 높게 나왔다. 요즘 일본에서 빛이 바랜 ‘한류’를 기억하는 이들은 한국 요리에 매력을 느꼈다. 반면 한국에선 20대가 일본에 대한 친밀도가 가장 높았다. 일본 애니메이션을 접하고부터 일본을 보는 생각이 달라진 것이다.

이런 희망의 불씨를 키워 나가기 위해서는 양국 모두 과거사에 대한 정서적 트라우마의 치유가 필요하다. 양국은 전후 70년 동안 힐링이 부족했다. 한국은 35년간 민족의 전통과 자부심을 부정당한 피해자로서의 콤플렉스가 컸다. 일본이 그동안 지구촌 시민으로서 역할을 했고, 위안부 문제 즉 전시 여성 인권 문제를 세계에서 가장 먼저 공론화한 것에 대한 평가가 야박하다. 반면 일본은 경제부흥에 취해 식민 지배와 침략 등 가해자로서 자기반성의 타이밍을 놓쳤다. 또 한국은 “일본의 과거사 사과가 소극적이고 엉거주춤하다”고, 일본은 “모든 문제는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고 주장한다. 이런 엇박자의 시발점은 1965년 맺은 한·일 청구권 협정에서 비롯된다.

50년 전 협정 당시 생각지도 못한 위안부, 징용자 문제 등에 대해 재정리하자는 의견이 한국과 일본 지식인들 사이에서 자라나고 있다. 피폭자는 엊그제 나온 일본 최고재판소 판결대로 일본 정부가 책임지고 해결하면 된다. 징용자 문제는 한국 정부가, 위안부 문제는 일본 정부가 각각 적극적으로 해결하자는 것이 재정리 논의의 핵심이다.

불완전한 당시 협정에 대한 재논의가 이번에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한·일 정상회담에서 힘을 받았으면 좋겠다. 두 정상이 악수하고 사진 찍고, 과거 주장을 되풀이한다면 굳이 만날 필요가 있으랴. 위안부나 강제 징용, 피폭 등을 겪은 고령의 전전(戰前) 세대가 갈수록 스러지면서 상흔은 희미해지겠지만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이 없었다는 사실이 역사에 또렷이 기록될까 안타깝다.
2015-09-11 3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