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한없이 가벼운 ‘옷장 정치’/최여경 사회정책부장

[데스크 시각] 한없이 가벼운 ‘옷장 정치’/최여경 사회정책부장

최여경 기자
최여경 기자
입력 2022-04-03 22:16
업데이트 2022-04-04 08: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 특활비’서 파생된 金여사 의상 의혹
朴 전 대통령 땐 ‘옷장 정치’ 논란 불거져
수명 다한 권력을 향한 씁쓸한 시선 차이

최여경 문화체육부장
최여경 문화체육부장
1999년 5월 25일 ‘옷 로비 의혹 사건’이 터지면서 온 나라가 발칵 뒤집혔다. 외화 밀반출 혐의로 구속된 최순영 신동아그룹 회장 부인 이형자씨가 고위 공직자 부인들에게 고급 옷을 사 주고, 일부 옷값을 대납했다는 의혹이다. 사흘 후 이 의혹에 이름이 거론된 연정희씨가 이씨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했다. 연씨는 당시 검찰총장이자 법무장관으로 임명된 김태정씨의 부인이다.

서울지검이 수사에 나섰고, 국회 청문회가 열렸지만 딱히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자 헌정 사상 첫 특검까지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특검 수사로도 ‘이씨가 연씨에게 접근한 건 맞지만 최 회장의 구속 방침을 접하고 로비를 포기’한 것으로, 6개월을 끈 떠들썩한 사건이 시시하게 마무리됐다. 그러나 당시 김대중 정부에 준 타격은 컸다. 의혹 가운데 영부인 이희호 여사가 이들이 고급 모피를 샀다는 ‘라스포사’를 ‘즐겨 찾았다’는 소문도 있었던 탓이다.

평생 민주화와 인권 운동에 헌신한 대통령이 꾸린 정부의 고위직에서 80만원짜리 투피스, 700만원짜리 코트, 2400만원어치 의상이라는 단어가 쏟아지니 국민의 실망은 이만저만 아니었다.

‘이희호 평전’(한겨레출판, 2016)에서 이 여사는 당시 사건을 이렇게 돌이켰다. “아무런 실체가 없는 사건이었다. 하지만 어쨌든 그 사건으로 ‘국민의 정부’ 도덕성에 흠집이 났다. 구제금융(IMF 외환위기) 사태로 국민들이 큰 고통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그런 소문만으로도 사람들이 실망했던 거다. 그 뒤로 행보를 더욱 조심하게 됐다.”

실제로 80% 전후를 보였던 김대중 정부의 지지율은 이 사건 이후 65.5%로 하락했다.

최근 우연한 자리에서 김정숙 여사를 지근거리에서 봤던 분을 만났다. 문재인 정부 국무위원의 배우자 모임에 동석했던 이다. 그는 김 여사를 ‘극도로 몸을 낮췄’던 이미지로 기억한다. 늘 “조심한다고 했는데도 말이 많이 나오더라. 항상 더 조심하겠다”고 했고, 이 말을 들을 때마다 국무위원 배우자들은 자신들을 향한 당부로도 받아들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요즘 김 여사의 의상이 어떻게 이런 논란으로 해석될 수 있는지 의아하기만 하다고 했다.

지금 이 논란이 참 뜬금없고 황망한 건 사실이다. 5년 전 촛불의 힘이 세운 권력을 향해 주단길을 깔아 주며 김 여사의 ‘패션 외교’를 앞다퉈 다루던 그때를 떠올리면 더욱 그렇다.

접근 방식도 박근혜 정권 말 국정농단 사태와 참 많이 닮아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옷장 정치’라는 말을 만들어 낼 정도로 눈에 띄는 패션을 보였다. 그러다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씨의 존재가 등장하면서 패션 외교는 비전문가의 취향에 휘둘린 ‘국격농단’이 됐다. 그때도 현금 봉투로 결제한 옷값이 박 전 대통령의 사비다, 청와대 특수활동비(특활비)다, 말이 많았다.

옷이라는 것은 아주 대중적이라 휘발성이 크다. ‘사치’라는 개념을 담아 부정적인 감정을 이끌어 내기도 쉽다. 김 여사의 옷값 문제를 현 정부의 도덕적 결함과 특활비 폐지의 근거로 활용하고 있지만 이는 본질을 벗어난 것이다. 오랜 기간 특활비 문제를 지적해 온 한국납세자연맹도 의도와 다르게 흘러가는 논쟁을 보면서 “특활비 폐지 운동을 ‘개싸움’으로 변질시키지 말라”는 성명을 냈다.

이진우 포항공대 석좌교수는 ‘한나 아렌트의 정치 강의’(휴머니스트, 2019)에서 “탈진실 정치에서는 사실보다 감정이 훨씬 더 커다란 영향력이 있기 때문에 정치는 더욱더 감성화된다”면서 “진실은 힘이 없고 권력은 기만적”이라고 일갈했다. 수명을 다한 권력을 향한 시선은 다른 해석을 낳고 진실은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인가. 씁쓸하다.
최여경 사회정책부장
2022-04-04 3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