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지원 좋은세상] 도내 결혼은 근친상간?

[강지원 좋은세상] 도내 결혼은 근친상간?

입력 2010-02-10 00:00
업데이트 2010-02-10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내(道內) 결혼은 근친상간이라고? 이게 웬말인가 생각하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여기서 도(道)란 경상도, 전라도라고 할 때의 ‘도’다. 그러니 도내 결혼이란 같은 도 사람들끼리 결혼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런데 이 도내 결혼이 근친상간이라고 표현되었다. 근친상간이란 근친 간에 성관계를 갖는 것을 가리키는데, 이는 유전학적으로 열성(劣性)유전의 위험성이 크다고 해서 금기시해 온 행위다. 그러나 사실 인류역사를 뒤져보면 근친상간의 예는 수없이 등장한다. 아예 순수혈통을 유지한다는 이유로 내혼(內婚)을 관습화한 적도 있다. 그런가 하면 본래부터 인간의 본성 안에 그런 심리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그것이다. 엘렉트라 콤플렉스도 마찬가지다.

이미지 확대
강지원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대표
강지원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대표
그러다 언제부턴가 열성유전을 막는다는 취지에서, 때로는 친족 간의 성윤리를 보호한다는 취지에서 금지조치들이 취해졌다. 아예 그런 행위 자체를 형사처벌의 대상으로 삼는 나라가 있는가 하면, 우리나라처럼 형사처벌은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일정범위의 친족 간에는 혼인을 금지하는 나라도 있다. 그렇다면 지역적으로 같은 도 사람들끼리 혼인하는 것이 근친상간인가. 아니다. 그러나 도내 결혼은 근친상간과 마찬가지이니, 도간(道間) 결혼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 것이다.

지난 1월에 열린 제1회 사회통합위원회에서다. 이날 주제발표자로 김우창, 송복 두 원로교수가 초빙되어 모두 유익한 말씀을 남겼다. 그런데 문제의 근친상간 발언은 송복 명예교수에게서 나왔다. 그는 우리 민족은 혈통순도가 너무 높은데, 그런 데다가 꼭 같은 지역 안에서 결혼한다며, 국민의 90%가 근친상간으로 태어났다고 표현했다. 그렇게 되면 어떻게 됩니까 하고 묻고는 전부 ‘졸자’들만 나온다고 했다.

그러니 도간 결혼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특히 지도층이 그렇게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다가 갑자기 저기 앉아 계시는 김수지 총장님은 전남 처녀가 경북 총각하고 결혼해서 엄청난 학자를 만들어냈다고 하고, 강지원 변호사도 그렇지요? 정진성 교수도 그렇지요? 하고 물었다. 도간 결혼한 사람들을 거명한 것이다.

이러한 주장이 생물학적으로 어떤 근거를 가지고 있는지는 설명 듣지 못했다. 그러나 얼핏 든 생각은 ‘오죽하면 원로 사회학자가 이런 주장을 하실까.’였다. 이 나라의 지역 사람 간 골이 얼마나 깊었으면 통혼권역(通婚圈域)을 확대하자는 주장이 나올까 하는 것이었다.

최근 강연차 호남지역을 방문한 적이 있다. 그들에게 지역감정에 대해 물었다. 답은 뜻밖이었다. 자신들은 영남사람들에게 무척 잘 대해 주는데 저쪽에 가면 영 반응이 차갑다고 했다. 그런데 이 말은 그전에 영남지역에 갔을 때 들은 얘기와 똑같은 것이었다. 그때 그들도 자신들은 잘 대해 주는데 호남에 가면 영 발붙일 수가 없다고 했었다. 누구 말이 맞을까. 그들의 말이 사실이라면 과연 무엇이 문제인가.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갈라놓는 것은 여러 가지다. 그중에서 단순한 경계심, 불신 같은 심리적 요인이라면 소통과 대화를 통해서 해소할 수 있다. 오랜 농경생활에서 외지인(外地人)의 접근이 두려웠다면 열린 마음으로 폐쇄성을 벗어 던질 수 있다. 지금 늘어나는 다문화가정을 대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지금과 같은 지세화(地世化) 시기에 언제까지 좁쌀 같은 지역성에 파묻혀 지낼 것인가.

문제는 우리 사회의 가장 고질적 병폐인 지역패거리 작당을 선동하는 정치꾼들이다. 이들은 때만 되면 지역민들을 선동한다. 지금도 ‘말뚝’만 박으면 당선되는 곳이 여러 곳 있지 아니한가. 그들은 이욕(利慾)으로 지역민들을 유혹한다. 자신들이 정권을 잡으면 온갖 지역개발도, 이권도, 자식 취직도 눈앞에 보인다고 불을 지른다. 이제 그 고리를 끊어야 한다. 정치꾼들이 스스로 각성하지 않으면 제도적으로 꼼짝못하게 만들어야 한다. 선거제도를 바꾸고 정당제도를 뜯어고쳐야 한다. 그렇게 해서라도 지역갈등을 극복하고 사회통합을 할 수 있는 길에 나서야 한다.
2010-02-10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