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하 시인
의지할 데 없는 노인들과 지체장애인들이 모여 사는 그 공동체를 섬기는 분은 나이 든 목사님으로 음식을 통한 민간요법에도 일가견이 있었다. 햇볕에 잔뜩 그을린 그분의 얼굴빛이며 옷차림에서 시골 농부의 체취가 흠씬 묻어났다. 그분의 안내로 따라간 식당 출입구에는 ‘간편한 삶’이란 글귀가 단긴 편액이 걸려 있었다. 안으로 들어가자 투박한 통나무 식탁 위에는 푸른 산야채와 된장국과 현미 잡곡밥이 기다리고 있었다. 청정한 농작물로 차려 낸 음식은 미각을 자극하기 위해 온갖 양념으로 버무린 그런 요리와는 거리가 멀었다. 그 풋풋하고 향기로운 먹거리는 우리의 식탐을 자극했다. 하지만 나는 싱싱한 산야채로 쌈을 싸 먹으면서 솟구치는 식탐을 자제했다.
소박한 밥상, 하늘과 땅과 사람의 수고가 어우러져 공들여 빚어진 밥상 앞에서는 왠지 그래야 할 것만 같았다. 밥을 다 먹고 났는데도 입안 가득 산야채의 향이 고여 있었다. 빈 그릇을 부엌으로 가져가는데, 부엌 입구 벽의 ‘밥’에 대해 마음에 새겨야 할 기도문 족자가 눈길을 끌었다.
“이 밥이 우리에게 먹혀 생명을 살리듯/우리도 세상의 밥이 되어 세상을 살리게 하소서./ 한 방울의 물에도 천지의 조화가 스며 있고/한 톨의 곡식에도 만인의 땀이 담겨 있으니,/감사한 맘으로 먹게 하시고/가난한 이웃을 기억하여 식탐 말게 하소서./천천히 꼭꼭 씹어서 공손히 삼키겠나이다.”
그 글귀에는 밥을 ‘하늘’로 여기는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그렇다. 왜 밥이 하늘이 아니겠는가. 사람이 목숨 줄을 놓으면 곡기를 끊었다고 하지 않던가. 하지만 오늘날 우리가 이렇듯 밥을 공경하는 마음이 있던가. 공경이란 문자 그대로 웃어른이나 하늘을 모시는 극진한 마음이다. 과연 우리가 밥을 제대로 모셔 왔던가. 양생법을 가르치는 중국의 의학서인 ‘황제내경’에서도 “음식은 곧 하늘”이라고 했고, “최고의 의원은 주방에 있다”고 했다. 즉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하고 병들었을 때 필요한 약이 곧 우리가 음식을 만들어 먹는 주방에 있다는 것. 병이 들면 병원을 먼저 찾기 일쑤지만, 우리는 주방에서 만들어 먹는 음식을 돌아보아야 한다. 제철 음식을 먹고 있는지, 식탐만 자극하는 음식을 먹고 있진 않은지, 그 음식이 나를 살리는 약선(藥膳·약이 되는 음식)인지.
그래서 시인 정현종은 음식을 만드는 공간인 주방을 “이타의 샘이여,/사람 살리는 자리 거기이니/몸을 드높이는 노동/보이는 세계를 위한 성단(聖壇)”(부엌을 기리는 노래)이라고 노래했을까. 음식 노동에 종사하는 이를 ‘부엌데기’로 폄하하는 세상에 부엌을 ‘보이는 세계를 위한 성단’이라니.
이 시를 곱씹다 보면 그 오지 장애인공동체의 풋풋한 식탁이 떠오르고, 늘 삼시 세 끼 챙겨 먹는 삼식이(!)인 나를 위해 정갈하고 건강한 음식을 만들기 위해 주방에서 종종걸음을 치는 아내의 얼굴이 떠오른다. 그렇구나, 나를 살리는 하느님이 어디 먼 곳에 계시지 않고 바로 우리 집 주방에 계시는구나.
2016-10-0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