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찬주 소설가
장인의 경지란 평생을 업으로 해야만 겨우 얻어지는 것이 아닐까. 줄자 하나 없이 눈썰미로만 보름 만에 세 칸짜리 가마를 뚝딱 지어 냈던 것이다. 무슨 일을 십수년 했다고 세상 밖으로 나와서 대가인 양 자기 자랑하는 사람들을 보면 민망하지 않을 수 없다. 도자기 한 점의 겉과 속이 환골탈태해 이 세상에 나오는 과정을 알게 된다면 자제하지 않을까도 싶다. 안사람의 가마는 수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튼튼하다. 매년 불을 때는 동안 가마 겉면에 균열이 손금처럼 나 있지만 수리할 필요는 없다. 고온에 틈이 벌어졌다가도 식으면 원상태로 오므라들곤 하기 때문이다.
가마에 유약을 바른 도자기를 넣고 불을 땔 때는 무엇보다 택일을 잘해야 한다. 비가 오지 않아야 하고, 바람이 불지 않아야 한다. 습하거나 바람이 짓궂으면 불의 온도가 잘 올라가지 않는다. 하늘이 도와줘야 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가마 안에 들어가는 기물은 형태적으로 온전하고 장작은 2년 이상 마른 상태여야 한다. 그런데 날씨가 좋다고 도자기가 잘 구워져 나오는 것은 아니다. 불 때는 사람의 실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가마 안의 고온을 유지하려면 불을 넣고 빼는 능력이 기본이다. 자동차 운전은 일정한 시기가 지나면 초보딱지를 떼지만 가마의 불 때기는 다르다. 변인(變因)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무박2일 동안 여러 사람이 돌아가면서 불을 때는데 그중에서 불을 조절하는 사람을 불대장이라고 부른다. 안사람 가마의 불대장은 내 산방에서 20분 거리에 사는 다헌도예 박 대표다.
지난 월요일에도 안사람은 박 대표의 도움을 받으며 도자기 굽는 작업을 관장했다. 가마 불의 온도는 완전히 목측(目測)으로 판단하는데, 안사람의 말을 빌자면 장작 연기로 생긴 가마 안의 검댕이 사라지는 때가 4백도, 붉은빛 속에서 파란빛이 드러날 때가 1200도, 선녀의 옷자락처럼 흰빛의 불길이 너울거릴 때가 1300도 이상이라고 한다. 가마 온도는 화산의 용암이 800도에서 1200도라고 하니 의미심장하지 않을 수 없다. 비록 사람이 만든 인위적인 기물이지만 가마 안에서 용암처럼 자연으로 되돌아갔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도자기의 아름다움 속에서 탈속한 듯한 자연의 무위(無爲)가 느껴지는 까닭은 바로 이런 과정이 있기에 그럴 터이다. 물론 가마 안에 들어간 기물이 다 살아나오지는 않는다. 20-30% 정도의 기물만이 찢어지거나 일그러지지 않고 나온다. 이를 불의 심판이라고 하는데 요변(窯變)에 의해 신비로운 보석 같은 빛깔의 기물도 더러 생긴다. 그러나 그런 귀한 도자기의 출현은 결코 우연이라고 할 수는 없다. 버려지는 수많은 기물 가운데서 불이 선물한 행운이기 때문이다. 세상에는 공짜가 없다는 말을 실감하지 않을 수 없다. 공짜를 탐하다가 나락으로 떨어지는 사람들이 오늘도 언론 지면을 도배하고 있다. 도자기의 아름다움은 차치하고 자신의 인생을 위해서라도 정신 차렸으면 좋겠다.
2016-10-2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