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문명인이란 존재/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문명인이란 존재/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입력 2022-06-19 20:32
업데이트 2022-06-20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넷플릭스의 한국형 SF 드라마 시리즈 ‘고요의 바다’를 보면서 일본의 정치철학자 사이토 고헤이가 쓴 ‘지속 불가능 자본주의’에서 읽은 구절이 떠올랐다. “소를 기르는 데는 방대한 토지가 필요한데, 어떡하면 될까? 공장에서 생산하는 인공육으로 대체하면 된다. 사람들을 고통스럽게 하는 질환은 어떻게 할까? 유전자 공학으로 해결할 수 있다. 자동화는 인간을 노동에서 해방시켜 주겠지만, 로봇을 움직이기 위한 전력은 어떻게 확보할까? 태양광 발전으로 충당할 수 있다!”

사이토는 이런 입장을 기술 가속주의(accelerationism)라고 비판한다. 인류가 처한 환경 파괴의 문제를 새로운 과학기술의 개발로 해결할 수 있다는 태도다. ‘고요의 바다’에서는 기술로 물 부족 사태를 해결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결과는 파국이다. 할리우드 영화도 비슷하다.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인터스텔라’의 기둥 서사는 인류가 살 수 없게 된 지구를 버리고 이주해 살 수 있는 곳을 찾아가는 여정이었다. 영화에서는 다채로운 과학 개념이 시각적으로 흥미롭게 펼쳐지지만 내가 ‘인터스텔라’를 보면서 가졌던 물음은 이것이었다. 인류의 잘못으로 지구를 엉망으로 만들어 놓고 이제는 다른 곳으로 이주하면 문제가 해결될까?

최근 개봉한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을 보면서 같은 느낌을 받았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시리즈를 시작하며 선보인 공룡의 이미지는 경이로웠다. 그러나 시리즈 출발점에서도 멸종된 공룡을 복원하려는 인간의 무분별한 호기심과 욕망이 가져올 파괴적 결과에 대한 불안감이 배어 있었다. 만듦새가 썩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도미니언’은 유전자 공학으로 만들어 낸 발명품인 공룡이라는 오래된 존재와 인류가 공생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여기서 공룡은 단지 공룡이 아니라 다른 모든 생명체를 뜻한다. ‘도미니언’은 기후위기나 숱한 생명종의 멸종 사태에 대해 인류가 져야 할 책임을 또렷하게 드러낸다. 과연 생명종의 위기도 유전공학 같은 더 나은 기술만 개발하면 해결될까?

아무리 혁신적인 기술을 만들어 낸다고 해도 지구라는 삶의 터전과 다른 생명체를 존중할 줄 아는 마음이 없다면 헛일이다. “날고기를 먹는 야만인/ 에스키모라는 말은 그렇게 해서 생겨났지요/ 이누이트족은 에스키모라는 말을 싫어했다고 해요/ 인간이라는 뜻의 이누이트/ 스스로 그렇게 불렀고 그렇게 불리길 원했어요/ (중략)/ 나눅에게 문명인이란 어떤 존재였을까요/ 카메라와 필름을 가져와 자신을 찍어대는 사람들을/ 나눅은 아주 친절하게 대했지요/ 그들은 얼음 위에서 너무 약한 존재들이었으니까요”(나희덕, ‘북극의 나눅’ 부분) ‘카메라와 필름’ 같은 기술 문명을 발전시켰다고 거들먹대며 다른 존재를 무시하고 ‘찍어대면서’, ‘친절하게’ 대하는 법을 모른다면 인류에게 희망이 있을까?

2022-06-20 2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