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대전 유등천
내 자리 건너편에서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었다. 운전기사가 낯을 찌푸렸다. 이 일을 어찌 하나 하고 난감하게 바라보고 있던 순간, 뒤편에서 학과 학생회 총무를 맡은 복학생 한 명이 검은 비닐봉투를 들고 다가온다. 그러더니 말없이 소매를 걷어붙이고는 맨손으로 토사물을 싹싹 훑어 깨끗하게 치우는 게 아닌가. 누가 시킨 것도 아니었다. 청소 중이나 청소 후나 말 한마디 없었다. 내가 이 일을 했노라고 생색을 내는 법도 없었다. 당연히 할 일을 했다는 투였다.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보면서 내심 감탄했다. 나 자신 깨우치는 바가 많았다. 지방대란 이유만으로 폄하하는 세태에서 이런 학생이 있다는 게 뿌듯하고 자랑스러웠다.
나는 어려서 어머니가 부엌에 들어오지 못하게 막았던 세대에 속한다. 사내가 부엌에 들어오면 안 된다는 불문율이 통용되던 시절이다. 지금 와서 보면 한심한 관행이지만 그때는 그랬다.
설거지 습관이 몸에 붙질 않았으니 나이 들어 후천적으로 익히는 게 쉽지는 않았다. 이건 머리가 아니라 전적으로 몸으로 익히는 공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답사에서 그 일을 겪으면서 결정적으로 내 습관을 돌아보게 됐다. 그 후 개숫물에 손 담그는 게 자연스러운 일이 됐다. 학생에게서 한 수 배운 것이다.
어려운 시험을 치르고 고위직에 오른 우리의 엘리트 관료, 법조인들은 어떤 교육을 받고 자랐을까. 책으로만 세상을 배운 수재들이라면, 국민의 삶과 동떨어진 외계인들이라면 곤란할 것 같다. 삶의 현장에서 고단하게 살아가는 서민들의 아픔을 온몸으로 공감할 줄 아는 지도자가 많이 나오면 좋겠다.
흰뺨검둥오리 한 쌍이 차가운 얼음물에 온몸을 던져 먹이를 찾고 있다. 양말도 신지 않은 빨간 발이 얼마나 시릴까.
우석대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2020-01-22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