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뜨거웠던 여름, 도쿄올림픽을 취재할 때였다. 8월 1일 저녁 올림픽스타디움을 찾았다. 우상혁이 출전하는 남자 높이뛰기 결선이 예정돼 있었다. 솔직히 세계 육상의 꽃이라 하는 남자 100m 결선을 직접 보고 싶은 욕심이 더 컸다. 우상혁은 메달 후보는 아니었다. 올림픽 출전 기준 2m33을 충족하지 못했던 우상혁은 개막을 3주가량 앞두고 간신히 랭킹 포인트를 쌓아 극적으로 막차를 탔다. 당시 개인 최고 기록이 2m31이었던 그는 결선 진출이 현실적인 목표였다. 이진택이 1997년 세운 한국 기록(2m34) 경신과도 거리가 있어 보였다.
느긋한 마음으로 미디어석에 앉아 남자 100m 결선을 기다렸다. 그런데 2m19, 2m24, 2m27, 2m30, 2m33…. 우상혁이 자꾸 바를 넘더니 2m35까지 성공해 한국 신기록마저 세워 버렸다. 이제 메달 경쟁이었다. 한국 육상 트랙·필드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이 나올 수 있는 상황과 맞닥뜨린 것이다. 부리나케 믹스트존으로 내려갔다. 결과적으로 우상혁은 2m37부터 막혀 아쉽게 4위에 머물렀다. 비록 메달은 따내지 못했으나 우상혁의 비상은 도쿄올림픽 하이라이트 가운데 하나였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100m 결선은? 믹스트존에 놓여 있던 대형 TV를 통해 보며 입맛을 다실 수밖에 없었다.
환한 미소와 스스로에게 자신감을 불어넣는 기합으로 긍정 에너지를 발산했던 우상혁은 믹스트존에서도 유쾌하게 입담을 과시했다.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병역 관련이었다. 당시 우상혁은 국군체육부대에 입대한 지 5개월 된 일병이었다. 만약 2㎝ 더 높이 날았더라면, 그래서 시상대에 섰더라면 조기 전역할 수 있었다. 우상혁에게 물었다. 한 끗 차이로 조기 전역이 불발됐다고, 아쉽지 않으냐고. 그랬더니 우상혁은 “정곡을 찔렀다”면서도 “그래도 육상의 한 획을 그었다는 것에 만족한다. 군대에 갔기 때문에 제가 이렇게 됐다”고 답했다.
나중에 알게 됐는데 김도균 육상 대표팀 코치가 절제된 군 생활이 우상혁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해 입대를 권유했다고 한다. 도쿄올림픽에서 군인 신분을 유지(?)한 우상혁은 지난해 세계실내육상선수권 금메달, 세계육상선수권 은메달을 따내며 더 높게 도약한 뒤 9월 제대했다. 그는 “많이 배우고 크게 성장하는 시간이었다”고 군 복무 1년 6개월을 돌이켰다.
얼마 전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이 끝나자 병역 특례(예술·체육요원 제도)를 놓고 또다시 설왕설래다. 지난해 방탄소년단(BTS) 입대를 둘러싸고 뜨거웠던 이슈가 재점화했다. 올해로 도입된 지 반세기가 넘은 예술·체육요원 제도는 최근 20년 사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무대에서 프로와 아마추어의 경계가 무너지며 가속하는 모양새다. 큰돈을 버는 프로 선수들이 병역 혜택마저 누린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렸다. 구기 단체 종목에서는 무임승차 논란이 반복된다. 일부의 경우이긴 하나 국가대표를 병역 회피 도구로 취급해 국민 반감을 사기도 했다. 대중문화가 스포츠 못지않게 국위를 선양하는 시대가 됐으나 대중문화예술인에 대한 차별이 해소될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 중지를 모으기 쉽지 않은 세상이라 사실 형평성을 맞추려면 병역 특례를 축소 또는 폐지하는 게 간단하지만 스포츠계, 그중에서도 비인기 종목에서는 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
문득 여전히 ‘군대 가지 않는 것’에 논의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게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병역 의무 이행이 누구에게나 상실과 희생의 시간이 아닌 성장과 도약의 시간이 될 수 있다면 병역 특례를 둘러싼 논란은 원래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느긋한 마음으로 미디어석에 앉아 남자 100m 결선을 기다렸다. 그런데 2m19, 2m24, 2m27, 2m30, 2m33…. 우상혁이 자꾸 바를 넘더니 2m35까지 성공해 한국 신기록마저 세워 버렸다. 이제 메달 경쟁이었다. 한국 육상 트랙·필드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이 나올 수 있는 상황과 맞닥뜨린 것이다. 부리나케 믹스트존으로 내려갔다. 결과적으로 우상혁은 2m37부터 막혀 아쉽게 4위에 머물렀다. 비록 메달은 따내지 못했으나 우상혁의 비상은 도쿄올림픽 하이라이트 가운데 하나였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100m 결선은? 믹스트존에 놓여 있던 대형 TV를 통해 보며 입맛을 다실 수밖에 없었다.
최근 막을 내린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에서 은메달을 따낸 우상혁. 오장환 기자
나중에 알게 됐는데 김도균 육상 대표팀 코치가 절제된 군 생활이 우상혁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해 입대를 권유했다고 한다. 도쿄올림픽에서 군인 신분을 유지(?)한 우상혁은 지난해 세계실내육상선수권 금메달, 세계육상선수권 은메달을 따내며 더 높게 도약한 뒤 9월 제대했다. 그는 “많이 배우고 크게 성장하는 시간이었다”고 군 복무 1년 6개월을 돌이켰다.
얼마 전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이 끝나자 병역 특례(예술·체육요원 제도)를 놓고 또다시 설왕설래다. 지난해 방탄소년단(BTS) 입대를 둘러싸고 뜨거웠던 이슈가 재점화했다. 올해로 도입된 지 반세기가 넘은 예술·체육요원 제도는 최근 20년 사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무대에서 프로와 아마추어의 경계가 무너지며 가속하는 모양새다. 큰돈을 버는 프로 선수들이 병역 혜택마저 누린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렸다. 구기 단체 종목에서는 무임승차 논란이 반복된다. 일부의 경우이긴 하나 국가대표를 병역 회피 도구로 취급해 국민 반감을 사기도 했다. 대중문화가 스포츠 못지않게 국위를 선양하는 시대가 됐으나 대중문화예술인에 대한 차별이 해소될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 중지를 모으기 쉽지 않은 세상이라 사실 형평성을 맞추려면 병역 특례를 축소 또는 폐지하는 게 간단하지만 스포츠계, 그중에서도 비인기 종목에서는 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
문득 여전히 ‘군대 가지 않는 것’에 논의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게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병역 의무 이행이 누구에게나 상실과 희생의 시간이 아닌 성장과 도약의 시간이 될 수 있다면 병역 특례를 둘러싼 논란은 원래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2023-10-24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