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욱의 파피루스] 민주주의 연습, 환호송과 보드게임

[서동욱의 파피루스] 민주주의 연습, 환호송과 보드게임

입력 2017-04-21 17:52
수정 2017-04-22 00: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가족의 달과 장미 대선이 겹쳤다. 이 우연은 참 묘하게 느껴지는데, 양자를 같이 묶을 수 있는 하나의 개념 때문이다. 바로 ‘공동체’다. ‘가정’과 ‘국가’, 이 두 공동체는 인간의 근본을 이루는 것으로 고대부터 학문적 성찰의 중심에 섰다. 그 성찰이 바로 집(oikos)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오이코노미아(집안의 경영학)와 국가(polis)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폴리티카(정치학)이다. 근원적 의미로부터는 꽤 멀어졌지만 이 두 가지는 ‘경제’와 ‘정치’라는 개념으로 여전히 우리 공동체의 근본을 이룬다. 집안 살림을 잘하고 나라를 잘 꾸리는 것이 늘 인간이 가장 몰두하는 일인 것이다. 슈트라우스의 ‘가정 교향곡’이 묘사하는 집안 돌보기와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들이 그려 내는 정치적 장면 사이에 인간이라는 음악이 울려 퍼진다. 민주주의 정치 연습은 여러 모습을 지닌다. 일단 5월 9일에 실전을 앞두고 있는 비밀투표가 있다. ‘비밀’이라는 말이 알려 주듯 이 정치적 실천은 침묵과 더불어 개인적 고독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장막 속에서 혼자 감내 해야 하는 노고다.

또 다른 민주주의 연습이 있으니, 우리는 이 정치 연습을 최근에 아주 성공적으로 했다. 투표의 비밀스러운 고독과 반대되는 것으로, 집단을 이루고 나타난 국민이 노래와 축제 속에서 공개적으로 의사를 직접 관철하는 것이다. 바로 ‘촛불’이다. 촛불의 동기에 호응해 입법부와 사법부가 결과를 주었다는 사실은 이 집단적이고 공개적인 의사 표현으로서 민주주의가 가지는 근본성, 중요성을 잘 알게 해 준다. 이런 민주주의의 기원을 아감벤 같은 학자는 그리스도교 이전으로까지 올라가는 ‘환호송’에서 찾기도 한다. 고대 원형 경기장에서 그렇듯 집회의 노래 속에서 찬양하고 동의하고 승인하는 직접적 절차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결격 사유 없는 절차의 완결성을 고심하는 현대인에겐 저 공개된 집단적 민주주의의 끝에 개인적 고독의 민주주의가, 바로 엄밀한 절차로서 비밀투표가 자리 잡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민주주의의 전부일까. 민주주의는 집회 속에서 노래 부르며 이루어지는 동의라는 감격적 형태를 가지기도 하지만, 이 스펙터클과 거리가 먼 지난한 논쟁의 과정을 끌어안고 있기도 하다. 지난한 논쟁은 인내, 설득, 용인과 같은 덕목들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이 덕목들은 어디서 연습할 수 있을까. 뜬금없지만, 이번 가정의 달엔 아이들과 보드게임 한번 해보시라 권하고 싶다. 다운받은 앱을 통해 하는 게임 말고 직접 몸과 몸을 맞대고 하는 게임 말이다. 오늘날 디지털화된 게임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더불어 있음’을 상실했다. 협업을 요구하는 온라인 게임을 떠올리는 사람은 이런 말을 의아스럽게 생각할 것이다.

더불어 있음이란 무엇인가. 당연히 공동체에 주어진 규칙에 순응해서 함께 사는 것을 떠올리리라. 그러나 이보다 더 어렵고 중요한 것은 ‘더불어 있음의 규칙 자체를 갱신하고 새로 고안하는 삶’이다. 규칙의 고안과 갱신은 기존의 규칙에 따라서 할 수 없는, 진정한 창조를 요구하는 일이다.

왜 굳이 보드게임을 해보라 하냐고? 디지털화된 게임은 편리하고 즐겁지만, 규칙 자체를 정할 수는 없고 프로그램상 주어진 규칙을 따라야만 한다. 그러나 동네 장기판부터 시작해 집 안에 하나쯤 굴러다닐 모든 아날로그 보드게임을 보라. 규칙이 주어져 있는 것 같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게임의 시작부터 끝까지 규칙에 대한 논쟁이 개입한다. 훈수 두면 무효니 아니니, 물러주지 왜 깐깐하게 그러냐느니, 삼세판에서 졌지만 다섯 판까지 안 하면 비겁자라느니 등등. 그렇게 동네마다 집집이 게임의 고유한 규칙을 실시간 가지게 된다.

게임을 한다는 것은 규칙에 따르는 일이기보다는 이렇게 상황에 맞는 규칙을 고안하는 일이 된다. 참을성이 필요하고, 양보가 필요하며, 어리둥절한 비합리성에도 합리적으로 말 거는 노고가 필요하고, 내일을 기약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규칙에 자동기계처럼 복종하는 일이 게임이라면, 왜 보드게임 앞에서 종종 아이들끼리 울고불고 싸우겠는가. 그들은 규칙을 도출해 내는 중대한 일에 몰입하는 중이다. 가정은 이렇게 ‘더불어 있음’이라는 대단한 민주주의를 가르치며, 오이코노미아는 폴리티카의 어머니가 된다.

2017-04-2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