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욱의 파피루스] 문제를 만들어 내는 능력

[서동욱의 파피루스] 문제를 만들어 내는 능력

입력 2017-10-13 17:52
수정 2017-10-13 18: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인류는 문제를 해결하며 성장해 왔다.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가에 한 집단의 사활이 걸려 있었다고 해도 좋겠다. 우리는 참 많은 시험을 보고 커 왔으며, 그만큼 우리 주변에는 늘 문제가 있었다. 문제를 푸는 일은 어려웠지만, 문제 자체는 자동으로 늘 앞에 있었다. 수학 문제, 대학에 어떻게 진학할 것인가 하는 문제, 국가고시나 언론고시에 나오는 각종 문제 등…. 이런 문제 앞에서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공식과 요령을 숱하게 경험했다. 또 문제 해결에 귀감이 될 만한 전기(傳記) 역시 어린 시절부터 질리게 읽어 왔다. 과거엔 발명왕 에디슨, 요즘엔 에디슨의 재탕인 스티브 잡스까지.

그러나 사람들은 정작 중요한 ‘문제 자체’를 만들어 내는 능력에 대해선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듯하다. 문제를 해결하는 일과 구별되는 문제를 만들어 내는 능력이 무엇이냐고? 철학자 칸트를 보자. 보통 칸트는 유럽 근대 사상의 두 사조인 이성중심주의와 경험중심주의의 장점을 흡수하고 단점을 증발시켜 유럽문명을 더 안전한 기반 위에 올려놓은 사상가로 평가된다.

만약 당대를 양분하는 이성중심주의와 경험중심주의의 문제점을 해결해서 양자를 종합하라는 과제가 오늘의 우리에게 생사를 가름하는 문제로 주어진다면? 어쩌면 우리 시대의 어떤 이는 칸트보다 훨씬 나은 답안을 내놓았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정작 중대한 것이 문제의 해결이었을까? 물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정말 어려울 뿐 아니라 가치 있는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면 바로 문제 자체를 창안해 내는 일이리라.

오늘날 사상의 역사를 돌아보면서 사람들은 칸트 시대의 문제는 명확히 이성중심주의와 경험중심주의의 대립이었으며 칸트는 이 대립을 독창적으로 해소했다고만 생각한다. 이미 이루어진 역사를 뒤에서 편안히 회고하는 자의 ‘착시 현상’이다. 칸트 당대에는 당대를 진단하는 문제틀이 수없이 많았다. 이성주의와 경험주의의 대립 같은 명확한 문제란 아무것도 없었다. 바로 칸트가 온갖 것이 부글거리는 잡탕 속에서 저 대립을 자기 시대를 대표하는 하나의 명확한 문제로 만들어 냈던 것이다. 이런 문제 자체를 창안해 내는 일은 얼마나 어려운가? 가령 여러분 자신에게 물어보라. 오늘날 우리 사회의 난점들을 요약하는 하나의 문제는 무엇인가? 결코 대답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난감하게도 우리는 우리의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모른다. 이를 부끄러워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문제를 해결하는 일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일은 바로 문제를 발명해 내는 일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문제의 해결이 가장 어려운 인생의 모험인 듯 도전하지만, 자신이 매달리는 그 문제란 더 험난한 길 속에서 누군가 이미 창안해 낸 문제라는 것은 종종 잊는다.

누가 문제를 창안하는가? 역사 속에서 예를 들면 혁명과 개국을 이루는 자들일 것이다. 혁명과 개국이란 다름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달라붙어 중요하게 여기며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문제의 창안으로부터 시작된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수많은 우수한 두뇌들이 모여든다. 그러나 문제의 창안이란 바로 잠자고 있는 저 우수한 두뇌들을 최초로 깨워 내는 일이다.

무엇엔가 열광하고 온갖 지적인 능력을 동원해 달려들 때 우리는 이미 누군가에 의해 창안된 문제에 매달려 왔던 것은 아닐까? 그리고 그것을 진정한 창조로 오해해 왔던 것은 아닐까? 혹시 문제 자체를 창안해 내는 힘은 어떤 비범한 다른 이의 몫이고 애초에 우리에게 그런 능력은 없는 것은 아닐까?

그렇지 않다. 누구나 문제 자체를 창안해 내는 소질이 있다. 선생님의 표정에서 자신이 매를 맞을지도 모르는 불길한 문제 상황을 읽어 내는 초등생을 보라. 남들은 발견하지 못하는 선생님의 표정을 하나의 문제로서 창안해 낸다. 그는 어떻게든 문제를 해결해 매를 피할 것이다. 애인이 보낸 평범한 문자에서 이별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찾아낸 이를 보라. 설령 해결하지 못하고 이별하더라도 그는 자신의 운명을 결정한 문제를 창안한 위대한 이다. 진정한 교육이란, 문제에 답안을 하나 공들여 덧붙이는 길을 일러주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창안해 내는 소질을 빛나게 해 주는 것이리라.
2017-10-1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