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똑똑 우리말] ‘꾀다’와 ‘꼬시다’/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꾀다’와 ‘꼬시다’/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03-31 20:22
업데이트 2021-04-01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에서만 하루 평균 6억원의 피해가 날 정도로 보이스피싱에 속아넘어가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고 한다. 보이스피싱 수법에 대해 잘 안다는 사람도 막상 전화를 받으면 당황스러운 마음에 시키는 대로 행동하게 된단다. 최근에는 ‘070’으로 시작하는 번호를 ‘010’으로 바꿔 주는 특수 기계까지 등장했다니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오면 일단 의심해 봐야 할 듯하다.

‘그럴듯한 말이나 행동으로 남을 속이거나 부추겨서 자기 생각대로 끌다’란 뜻의 동사는 ‘꼬이다’이다. 준말은 ‘꾀다’이다. “영화를 같이 보자고 친구가 꼬이는 것을 못 이기는 체하고 받아 주었다”, “그는 돈 많은 과부를 꾀어 결혼했다” 등처럼 쓰인다. 이런 유형의 복수 표준어에는 ‘고이다/괴다’, ‘쏘이다/쐬다’, ‘조이다/죄다’, ‘쪼이다/쬐다’ 등이 있다.

‘꼬드기다’도 ‘꾀다’와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어떠한 일을 하도록 남의 마음을 꾀어 부추기다’란 뜻이다. “친구를 꼬드겨 군것질을 하다”처럼 사용한다.

그렇다면 ‘꼬시다’는 표준어일까? 언뜻 생각하기에 비표준어일 듯도 한데 ‘꼬시다’ 역시 표준어이다. 입말에서 세를 넓혀 뒤늦게 표준어가 됐다. 원래는 ‘고소하다’의 강원·경상·전라도 사투리였다. ‘이성과 사귀려고 수작을 부리다’ 등의 의미로 실생활에서 널리 쓰이면서 2014년 표준어가 됐다. ‘꾀다’와 어감상 차이가 있다고 판단해 별도 표준어로 추가한 경우다.

oms30@seoul.co.kr
2021-04-01 2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