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계파 갇힌 與의총 다음 토론 달라져야

[사설] 계파 갇힌 與의총 다음 토론 달라져야

입력 2010-02-23 00:00
업데이트 2010-02-23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나라당 친이·친박 진영이 어제 의원총회를 시작으로 세종시의 앞날에 대한 토론을 시작했다. 지난달 11일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발표한 뒤로 42일 만에야 비로소 양측이 얼굴을 맞댄 것이다. 물론 어제 의원총회 표정이 말해주듯 양측이 순조롭게 의견을 좁혀나갈 것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제각각 친이·친박 모자를 따로 쓴 채 사생결단의 줄다리기라도 하는 양 한발짝도 끌려갈 수 없다는 식으로 결기를 돋운 상황에서 무슨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 회의감이 드는 게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측이 첨예한 대립 속에서도 세종시 논의를 시작한 것은 최소한 절차적 민주주의 구현 차원에서라도 의미가 있다고 본다. 김형오 국회의장이 지적했듯 정당 민주화를 확립하는 전기로 삼아야 하는 것이다. 이제 세종시 논의를, 보다 나은 국익 창출과 당 발전의 기회로 삼느냐, 아니면 집권세력의 분란만 가중시키는 위기로 만드느냐는 전적으로 한나라당에 달렸다. 그저 표결처리를 강행할 명분이나 쌓겠다거나, 밀리면 끝장이라며 무조건 수정 반대를 외치는 외골수의 자세로는 당이나 나라의 내일을 기약할 수 없다. 중도진영으로 분류되는 20여명의 의원들을 자기 쪽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몸집 불리기 싸움이나 할 거라면 차라리 논의를 접는 게 마땅하다.

어제 의원총회에서 양측이 고성을 주고받는 신경전 속에 앵무새처럼 그동안의 주장만 되뇐 것은 유감이다. 그러나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고 본다. 시간은 있다. 계파의 모자부터 벗기 바란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저마다 친이·친박 소속이 아니라, 집권여당의 의원이며 각자 헌법기관임을 거듭 마음에 새기기 바란다. 세종시 수정안 반대 의견이 친이 진영에서 나오고, 친박 의원이 수정안에 찬성하는 모습을 국민들은 보기 원한다고 믿는다. 세종시 향배를 어느 쪽으로 잡든, 그래야 절차의 타당성이 확보되고 결론의 진정성이 담보된다고 할 것이다.

정부가 다음달 수정안을 국회에 제출할 때까지 친이·친박 진영이 충분히 제 의견을 개진하되 서로 상대의 주장을 귀담아들을 자세만 놓치지 않는다면 서로를 갈라놓은 장벽에도 틈새가 열릴 것이다. 밤을 새워서라도 원안과 수정안에 담긴 정치 신의와 국익의 무게를 따지는 열의와 제3, 제4의 대안은 무엇이 있는지 살피는 여유를 함께 갖기 바란다.
2010-02-23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