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南은 유연해지고 北은 진정성 보여라

[사설] 南은 유연해지고 北은 진정성 보여라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북이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6자회담 수석대표 간 비핵화 회담을 개최했다. 이어 지난 2008년 7월 싱가포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 회의 이후 3년 만에 외교장관들도 비공식 접촉을 가졌다. 이를 계기로 6자회담 재개를 위한 3단계 접근 방안, 즉 남북 대화와 북미 대화, 6자회담 가운데 첫 단추가 꿰어졌다. 발리에서 날아온 낭보가 한반도 해빙으로 이어지려면 남북 모두 변화된 자세가 필요하다. 남측은 유연성을 발휘하고, 북측은 진정성을 보여줄 때 한 발 더 나갈 수 있다.

남북이 화기애애한 만남을 가진 이후 6자회담 관련국 간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가 열렸고, 북·중 고위급회담과 북·러 접촉도 이뤄졌다.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이 조기에 재개되도록 관련국들이 성의를 갖고 임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북측이 미국과의 직접 대화에 집착해 온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자칫 남북 대화가 의미 없는 수순밟기에 그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도 우리 측이 주도권을 확보하도록 단호한 의지와 치밀한 전략이 수반돼야 한다.

청와대는 남북 관계의 중대 변화 가능성에 대해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혔다. 막연한 낙관을 자제하고 냉철하게 상황 전개를 예의주시하는 태도는 바람직하다. 비핵화 회담과 남북 문제 해결을 별도로 진행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대화의 물꼬를 트는 시도는 현실적으로 불가피한 선택이다. 그렇더라도 연평도·천안함 도발에 대해 북측의 사과를 받아낸다는 원칙은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북측에 잘못했으니 싹싹 빌라는 식으로 강요하는 자세로는 진전을 보기 어렵다. 북측이 사과에 준하는 유감 표명과 재발 방지 보장 등 진정성을 보이면 수용하는 유연성도 발휘할 필요가 있다.

모처럼 조성된 대화 무드를 살려 나가는 게 우선이다. 남북 정상회담까지 성사시키면 더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북측은 한 달 전만 해도 남측과 상종하지 않겠다고 했다. 언제 또다시 표변할지 모른다. 식량 지원 등 그들이 원하는 것만 내주고 아무런 결실도 얻지 못한 채 모든 게 유야무야되면 곤란하다. 한반도 비핵화는 물론이고 전반적인 남북관계에 실질적인 성과를 얻어내는 대화로 가야 한다. 의제로 옥신각신하다가 북측이 회담장을 박차고 나가는 악순환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

2011-07-25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