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나이스대란 열흘 뭉갠 교과부 책임 물어야

[사설] 나이스대란 열흘 뭉갠 교과부 책임 물어야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차세대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나이스)에 오류가 발생, 중·고교생 2만여명의 학기말 성적을 재산정해야 한다고 한다. 고교의 성적 오류는 동점자 처리 절차에서 빚어졌는데 교육과학기술부는 고교생의 1%가량인 1만 5000여명의 석차가 바뀌고, 2000명가량의 석차등급이 변동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중학교는 무단 결시생 부여산출점수 오류로 200여명이 영향을 받게 된다. 8월부터 시작되는 대입 수시모집을 눈앞에 둔 시점이어서 교육현장의 혼란과 불신이 우려된다. 얼마 전 수험생 자녀를 둔 수능출제·검토위원이 입시에 관여한 사실이 밝혀지더니 성적 오류까지 발생, 교과부의 부실하고 허술한 입시관리가 거의 위험수위에 이르렀다.

나이스는 개통 초부터 과부하, 복잡한 시스템 등으로 불신이 높았다. 이번 성적처리 오류도 중학교는 지난 13일, 고교는 지난 18일 교사가 발견, 교과부와 나이스를 관리하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신고하면서 드러났다. 신고가 없었다면 묻힐 수 있었다는 이야기다. 특히 내신성적은 수시에서 당락을 가르는 주요 전형 요소다. 성적 오류로 1만 7000여명의 당락이 갈렸으면 응시자 전체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생각만 해도 등골이 오싹하다. 그런데도 당국은 시스템이 안정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며 시간 타령만 했다니 한심하기 짝이 없다. 교과부가 성적 오류를 공식적으로 밝히기까지 1주일 안팎 걸린 점을 감안하면 은폐하려 하지 않았나 하는 의구심마저 든다.

먼저 대입 수시가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성적 재산정에 한점의 의혹이나 오차가 없도록 해야 한다. 고교 교사들도 방학 중 과외업무가 생겼다고 볼멘소리를 하지 말고 성적 재산정에 힘을 보태야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입시의 공정성이 훼손돼선 안 되기 때문이다. 안이하게 대처해 온 당국도 이번 기회에 입시관리 시스템을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잘못이 드러난 관련자들을 엄중 문책해야 한다. 나이스가 사용하기 어렵다거나 접속이 안 된다는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 개선책을 찾아야 한다. 차제에 대입과 관련된 부분을 분리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하기 편하고 간단명료해야 한다.

2011-07-25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