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SK컴즈 해킹 낱낱이 조사해 책임 물어라

[사설] SK컴즈 해킹 낱낱이 조사해 책임 물어라

입력 2011-07-30 00:00
업데이트 2011-07-30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터넷 포털 사이트 네이트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싸이월드가 해커의 공격을 받아 가입자 3500만명의 개인 정보가 유출돼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남한 인구가 4800만여명으로 우리 국민 72%의 개인 정보가 새나간 셈이니 간단히 넘길 사안이 아니다. 개인 정보 유출 사건으로는 최대인 데다 개인 아이디와 실명,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알짜 개인 정보가 통째로 해킹된 최악의 사고이기 때문이다. 운영 업체인 SK커뮤니케이션즈는 비밀번호와 주민등록번호가 암호화 처리됐다지만 안전하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여서 걱정이 클 수밖에 없다.

일부 회원들은 벌써 집단 소송 카페를 개설했다고 한다. 한 카페에서는 “해킹 사태를 사과의 글과 수사 의뢰 수준에서 마무리하려는 업체 측의 미약한 대응에 분노한다.”고 밝혔다. “해킹으로 인한 피해자들에게 피해 배상 대책과 재발 방지 해결책을 내놓으라.”고도 했다. 현재 경찰은 해커의 침입 경로와 개인 정보 유출 경위에 대해 수사에 들어간 상태다. 방송통신위원회도 사고 경위 파악을 위해 보안 전문가가 포함된 조사단을 꾸려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번 사고는 보안 수준이 높은 포털 사이트가 해킹당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사고와는 차원이 다르다. 서버에 4중 방어벽이 마련돼 있어 직접 뚫기 어려운 상황인 것을 보면 회사 내부 PC를 통해 우회해 해킹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그런 만큼 SK컴즈가 과연 고객 정보에 대한 보호조치 및 책임을 다했는지와 내부 과실은 없었는지 등에 대해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조사 결과에 따라 해당 업체가 책임질 일이 있으면 숨김 없이 공개하고, 응분의 책임도 져야 한다. 혹여 북측의 소행 여부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이번 기회에 정부는 사이버테러에 대한 대응 체제를 확실히 갖추는 데 역량을 모아야 한다.
2011-07-30 2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