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한·중관계, 더 넓게 더 깊게 내실 기할 때

[사설] 한·중관계, 더 넓게 더 깊게 내실 기할 때

입력 2013-07-01 00:00
업데이트 2013-07-01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을 국빈방문하는 동안 전에 없는 환대를 받았다. 시진핑 국가주석을 비롯한 중국 지도부는 물론 일반 국민도 박 대통령이 가는 곳마다 따뜻하게 맞이했다. 유구한 동북아시아 역사에서도 흔치 않은 여성 통치자라는 희소성과 박 대통령의 개인적 인생역정이 관심을 불러일으킨 측면도 없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는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방증이다. 그들로서도 이제 한국을 긴밀하게 협력하지 않으면 안 되는 주요 나라로 인식하고 있는 셈이다.

박 대통령이 한·중 정상회담에서 첨예한 현안이었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동북아시아 평화·협력 구상’에 대한 중국의 지지를 이끌어낸 것은 결코 작지 않은 성과다. ‘북한 비핵화’라는 문구를 공동성명에 명기하는 데 이르지 못한 점은 아쉽다는 지적도 있지만, 중국이 북한 문제에 진전된 자세를 보인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두 정상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논의의 진전을 위해 보다 노력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도 앞으로 협상을 구체화하는 데 적잖은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경제적 사안에 가려 있지만, ‘한·중 인문 교류 공동위원회’를 만들어 유대를 강화키로 한 것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 과거 인문학 교류가 대륙에서 한반도로 일방적으로 흘렀다면, 이제는 쌍방향 교류의 필요성이 커졌다는 인식을 공유한 것이기 때문이다. 정치·경제 영역뿐 아니라 문화적으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임을 확인한 이상 두 나라는 한·중 ‘인문공동체’로서 문화교류 확대의 구체적 결실을 이뤄나가야 할 것이다.

한·중이 새로운 동북아 중심시대를 펼치고자 협력하는 마당에도 일본이 여전히 그릇된 과거사 인식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유감스러운 일이다. 일본은 동북아 중심시대를 다시 맞기 위한 두 나라의 노력에 동참해 시너지 효과를 내야 할 중심국가이다. 하지만 우경화한 역사인식에 휘둘리는 국내 정치 논리에 함몰돼 국제적 시야를 스스로 좁히고 있으니 안타까운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일본은 국제정세의 지형을 면밀히 살펴 불필요한 고립을 자초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정상회담이 끝나면 할 일은 더욱 많아진다. 이번 박 대통령의 중국 국빈방문을 통해 대국적 차원에서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내실화’라는 목표에 한층 근접했다고 본다. 기존 우호 관계를 실질적 협력 관계로 격상시켜야 한다.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이익을 보는 국제관계는 기대하기 어렵다. 양국이 힘을 합쳐 공동의 이익을 찾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앞으로의 한·중관계는 내용적으로 더욱 넓고 깊어져야 할 것이다. 두 나라의 미래를 밝히고 국제사회에도 기여하는 진정한 동반자 관계로 발돋움하기 바란다.

2013-07-01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