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사교육 줄이는 한국사 교육 정착시키길

[사설] 사교육 줄이는 한국사 교육 정착시키길

입력 2014-02-05 00:00
업데이트 2014-02-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사가 2017학년도 대학입학 수학능력시험부터 필수 과목이 되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대학 수능시험이 도입된 1994학년도부터 독립 과목에서 제외됐으니 23년 만의 부활이다. 주변국과 역사 갈등의 파고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음에도 역사 인식은 고사하고 기초적 역사 지식마저 갖추지 못한 젊은 세대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사의 수능시험 필수 과목화는 사실상 국민적 합의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결정이 내려진 지난해 8월 이후 엉뚱한 논란이 불거지기 시작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국사의 수능 필수 과목화가 사교육 확산을 부채질한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교육부가 그제 ‘한국사 사교육 수요 경감 방안’을 내놓은 것은 교육 현장의 논란이 그만큼 깊어졌음을 의미한다.

일부 학부모의 걱정을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다. 지금도 대학입시는 부모의 경제력과 정보력이 치열하게 맞붙고 당사자는 인간적인 삶을 포기해야 하는 비정한 전쟁터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이런 상황이라면 한국사가 아니라 어떤 필수 과목의 등장이라도 기존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변수가 되기에 충분할 것이다. 부모와 당사자의 노력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한 학부모는 ‘한국사 사교육이 필요한 것은 국·영·수에 집중할 시기에 앞서 숙지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토로했다고 한다. 이것이 한국사의 필수 과목화를 바라보는 현장의 일반적인 인식이라면 어떤 대증(對症)요법도 사교육 경감 방안은 되지 못할 것이다. 이렇듯 한국사를 계륵(鷄肋)으로 여기는 분위기는 국가의 미래는 물론 당사자의 미래를 위해서도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열쇠는 교육부가 쥐고 있다. 교육부 대책은 ‘수능 문제를 쉽게 출제하고 절대평가를 도입해 학교 수업에 충실하면 누구나 1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EBS 강의를 확충하겠다는 계획이지만 그 정도로는 미흡하다는 반응이다. 이참에 현장의 분위기를 달래는 정책에 연연할 게 아니라 한국사 교육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꿀 것을 제안한다. 이름과 연대를 외우는 과목이 아니라 흐름과 맥락을 이해하는 과목으로 교육의 틀을 다시 짜라는 것이다. 수능 출제도 당연히 같은 틀 속에서 이뤄져야 한다. 한국사 만큼은 사교육으로 효과를 보지 못하는 과목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역사 교육의 정상화를 염원하는 많은 사람들의 바람이기도 하다. 역사 및 교육계의 적극적 참여는 필수다.
2014-02-05 3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