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히든 챔피언’ 육성 안 되는 원인부터 진단하라

[사설] ‘히든 챔피언’ 육성 안 되는 원인부터 진단하라

입력 2014-03-29 00:00
업데이트 2014-03-29 0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적 시장지배력을 갖춘 한국형 ‘히든 챔피언’이 화두다. 박근혜 대통령과 메르켈 총리는 독일 히든 챔피언과 국내 중소·중견기업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박 대통령은 “독일의 산·학·연 3각 협조체제와 히든 챔피언으로 불리는 강소기업 육성 방안을 어떻게 우리 경제에 접목시킬 것인지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대통령을 표방한 박 대통령이 히든 챔피언 DNA를 한국 중소기업에 전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독일의 수출 중소기업은 35만 2000여개로 전체 중소기업의 11.1%를 차지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7만 5000여개로 2.5% 수준이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국내판매 비중은 2003년 81.8%에서 2012년 86%로 높아졌다. 내수에 의존하는 중소기업의 판로 구조를 개선하는 일이 절실하다. 히든 챔피언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독일 경제의 고용과 성장에 큰 밑거름이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다양한 중소기업 육성정책을 시행했으나 가시적 성과를 얻지 못했다. 전 세계 히든 챔피언 2734개 가운데 독일 기업은 1307개인데 한국은 23개에 불과하다. 과거 대기업 중심의 경제정책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2000~2009년 국내 중소기업의 고용 기여율은 128.7%로 고용 효과가 크다. 그러나 대기업의 기여율은 마이너스(-) 28.7%로 고용이 외려 감소했다. 자동차와 조선, 전자·반도체 등 대기업이 주도하는 3대 주력업종은 제조업 전체 생산의 34%를 차지한다. 그러나 중국 등 신흥국들이 맹추격하고 있어 성장과 고용을 이끌 먹거리가 절실한 실정이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강소기업들이 쏟아져야 한다.

다양한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는 더 심해지는 원인부터 진단해야 한다.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은 단일제품 위주의 혁신 활동에 집중한다는 지적도 있다. 글로벌 경영환경 변화에 따라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은 커지는 만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글로벌 시장개척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 신(新)산업 진출을 위한 규제완화도 요구된다. 기술혁신 및 금융지원과 교육훈련 체계 등 기존 중소기업 지원 인프라를 전면 재정비해야 한다.
2014-03-29 27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