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각박해진 우리 공동체 주변을 돌아봐야

[사설] 각박해진 우리 공동체 주변을 돌아봐야

입력 2014-03-29 00:00
업데이트 2014-03-29 0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네 세상살이가 메마르고 힘겨워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계형 범죄는 갈수록 늘고 있고 기부 참여율은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각박하고 팍팍한 게 최근 서민의 일상이지만, 고위공직자의 절반 이상은 오히려 재산을 불렸다고 한다. 이래 가지고서야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는 공동체의 결속이 온전히 이뤄질지 우려가 앞선다.

통계청이 그제 발표한 ‘2013 한국의 사회지표’를 보면 2012년 범죄 발생 건수가 전년보다 2.2% 늘었다. 살인·강도·강간 등 강력범죄는 줄었지만 생계형 범죄인 절도는 4.1% 증가했다. 또 최근 1년간 현금을 기부해 본 사람의 비율은 전년보다 2.3% 포인트 줄어든 32.5%로 나타났다. 통계만 놓고 보면 양극화의 벼랑에서 막다른 선택을 하는 서민이 많아지는 가운데 공동체 내부의 나눔 문화는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안타까운 일이다. 한편으로 어제 공개된 관보에 따르면 국회의원, 법관, 고위공무원, 중앙선관위원 등 고위공직자 열 명 가운데 여섯 명이 지난해 저성장 기조에서도 재산을 늘렸다고 하니 서민의 상대적 박탈감과 열패감은 깊어질 수밖에 없다.

상습적인 범죄 행위는 결코 정당화할 수 없지만 생계형 범죄의 증가는 우리의 허술하고 열악한 사회안전망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시장에서 낙오되고 도태된 이웃이 패자부활의 기회조차 갖지 못한 채 궁지에 몰리고 있는데도 공동체와 사회 시스템이 이들을 외면하고 방치하고 있지 않은지 살펴볼 일이다. 공동체의 유대감이 허물어지고 있는 징조는 기부참여율의 하락에서도 엿볼 수 있다. 지난 연말연시 이웃돕기 성금 모금액을 나타내는 사랑의 온도탑이 어느 때보다 높은 수은주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 전반에는 나보다 남을, 개인보다 공동체를 배려하는 기부 문화가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공동체가 성숙한 연대 의식을 갖지 못하면 경제 성장과 번영은 이룰 수도 없고, 설령 이룬다 한들 지속되기 힘들다. 공동체의 결속은 양극화의 대물림을 극복할 수 있는 균등한 기회의 보장, 그리고 패자부활이 가능한 사회안전망의 구축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2014-03-29 27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