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건설업 ‘일자리 창출 능력’ 반 토막 의미 알아야

[사설] 건설업 ‘일자리 창출 능력’ 반 토막 의미 알아야

입력 2016-10-02 18:02
업데이트 2016-10-02 18: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설업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지난 8년간 거의 반 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이 올해 작성한 ‘국토교통 분야 산업·직업별 고용현황’ 보고서에 나온 연구결과다. 그동안 정부가 경기 활성화에 의한 고용 창출에 나설 때마다 우선적으로 건설·토목사업 분야 투자를 강조했던 것을 감안하면 실망스러운 수치가 아닐 수 없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업 고용계수는 2006년 10.7명에서 2014년 5.9명으로, 44.9% 떨어졌다. 고용계수는 특정 산업에서 10억원 규모의 산출물을 만드는 데 투입되는 상용·임시노동자 수다. 고용계수가 5.9명이면 10억원 상당의 건축물을 지을 때 노동자 5.9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연구원은 일자리 창출 능력이 줄어든 가장 큰 원인으로 생산성 향상을 들고 있다. 건설기계가 첨단화하고 기계 활용이 증가하면서 노동자 수요가 크게 준 것이다. 건설업은 과거 고도성장기에 경기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정부는 경기 침체 기미가 보이면 굵직한 건설·토목사업을 주도해 대기업 중심의 민간 투자를 유도함으로써 고용을 늘리고 국가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하지만 이젠 이런 방식이 일자리 창출 측면에선 더이상 통하지 않음을 보고서는 보여준다. 국토연구원은 앞으로 대규모 신축시장은 정체하고, 기존 시설물·주택 유지보수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건설시장의 구조 자체가 바뀔 것이라는 의미다. 정부 정책과 기업의 투자 방향도 거기에 맞춰질 수밖에 없게 됐다.

기계가 사람을 대체해 일자리를 줄이는 흐름은 건설업 분야뿐만이 아니다. 특히 로봇과 인공지능 발달로 대부분의 산업에서 일자리 감소가 가속화할 가능성이 크다. 올해 초 세계경제포럼이 발표한 ‘일자리의 미래’ 보고서는 향후 5년간 일자리 200만개가 새로 생기는 반면 710만개의 일자리는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기업의 일자리 창출 능력도 감소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0대 그룹의 투자는 16.5% 증가했지만, 고용은 외려 0.4% 감소했다. 인공지능과 로봇이 주도하는 4차 산업이 미래를 지배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전망으로 볼 때 이 같은 ‘고용 없는 투자’ 현상은 갈수록 두드러질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지금까지의 일자리 정책을 되돌아봐야 한다. 단순히 대기업을 중심으로 큰 사업을 벌여 사람을 많이 쓰면 된다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국토연구원 보고서가 건설업을 넘어 모든 산업의 일자리 미래를 보여준 것이라는 인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2016-10-03 27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