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리멸렬 與. 통렬한 반성 위에 비대위 꾸려야

[사설] 지리멸렬 與. 통렬한 반성 위에 비대위 꾸려야

입력 2022-07-31 20:16
수정 2022-08-01 02: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알량한 당권 싸움 끝 지도부 공백 사태
민심이반 깊이 성찰하고 李도 자숙해야

이미지 확대
국민의힘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31일 당 대표 직무대행을 물러나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29일 오전 국회를 나서고 있는 권 원내대표의 모습.  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31일 당 대표 직무대행을 물러나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29일 오전 국회를 나서고 있는 권 원내대표의 모습.
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어제 당대표 직무대행에서 물러나고 조속히 당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런가 하면 엊그제 배현진 의원에 이어 어제는 조수진·윤영석 최고위원이 사퇴했고, 성일종 정책위의장(최고위원 겸직)도 사퇴 의사를 밝혔다. 사실상 지도부가 공백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20%대로까지 떨어진 대통령 국정 지지도가 말해 주듯 새 집권세력은 지금 대통령실과 정부, 여당인 국민의힘 가릴 것 없이 총체적인 난맥상을 노정하고 있다. 특히 국정 전반의 중심축이 돼야 할 국민의힘이 당 지도부의 갈등과 알력 속에 지리멸렬 행태를 보이고 있는 점이 심각하다. 친윤 그룹과 친이준석 계파로 갈려 서로 손가락질만 해댈 뿐 정권교체를 선택한 민의에 희망을 안겨 줄 비전과 정책 대안은 무엇 하나 내놓은 게 없다. 이준석 대표 당원권 정지 결정을 기화로 알량한 당권 싸움에만 혈안이 돼 있는 형국이다.

권 원내대표가 당대표 직무대행직을 내놓고 9명으로 이뤄진 최고위원회의마저 잇단 사퇴로 이준석 대표측 정미경·김용태 최고위원만 남으면서 사실상 와해됐다.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필연적 수순이 된 셈이다. 특별한 외부 요인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빚어진 지도부 공백 사태가 아니라 권력에 취한 집안 내부의 자중지란 때문에 빚어진 일이라는 점에서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 이러라고 국민들이 정권교체를 택하고 이들에게 국정을 맡겼단 말인가.

정부ㆍ여당에 대한 민심이반은 집권세력의 불행을 넘어 나라와 국민의 불행이다. 정부가 국정 동력을 잃고, 집권 여당이 흔들리면 나라의 지속 발전과 성장을 위한 그 어떤 국정 과제도 추진할 수 없다. 그렇지 않아도 지난 문재인 정부가 외면했던 연금 개혁과 노동 개혁, 교육 개혁 등 우리 후손을 위해 더는 늦출 수 없는 과제들을 손조차 대지 못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복합 위기 상황에서 우선 국민의힘 정상화가 시급하다. 비대위 체제로 속히 전환하되 작금의 사태에 대한 깊은 성찰과 반성, 사과가 선행돼야겠다. 지난 3월 대선을 통해 정권을 맡긴 민심이 넉 달여 만에 이처럼 싸늘하게 돌아선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 냉정하게 살피고, 그 바탕 위에서 비상대책위의 면면을 선택해야 한다. 이 대표도 밖을 돌며 당을 향해 손가락질하는 행태는 그만 접기 바란다.

2022-08-0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