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0. 경기 고양시에서 만난 암컷 때까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25/SSC_20231025000447_O2.jpg)
![2023. 10. 경기 고양시에서 만난 암컷 때까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25/SSC_20231025000447.jpg)
2023. 10. 경기 고양시에서 만난 암컷 때까치.
처음에는 암컷이 수컷에게 밥 달라고 조르는 건가 싶었다. 전선에 앉아 꼬리를 빙글빙글 돌리고 칙칙거린 녀석은 배쪽으로 갈색의 물결무늬가 보이고, 등쪽은 전체적으로 붉은 갈색을 띠는 암컷이었으니까. 그런데 조금 뒤 근처에 다른 때까치가 날아와 비슷하게 소리를 내며 꼬리를 빙빙 돌리는데, 이번에는 배쪽의 물결무늬가 흐릿하고 조로 가면처럼 두껍고 검은 눈선이 있는 수컷이다.
눈에 띄는 곳에서 더욱 시끄럽게 구는 이유가 딱새처럼 자기 영역을 주장하는 것인지, 아니면 내년의 번식을 위해 미리 짝을 구하고 있는 것인지 알 수는 없다. 그래도 떠들썩하지만 귀여운 모습을 보여 주니 그저 고맙게 관찰하고 사진을 찍을 뿐.
![주인 탐조인·수의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20/SSC_20230620000300_O2.jpg)
![주인 탐조인·수의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20/SSC_20230620000300.jpg)
주인 탐조인·수의사
관찰력이 나빠서 그런지 나는 한 번도 보지 못했는데 이따금 때까치가 사는 곳 근처의 뾰족한 나뭇가지나 가시철사 같은 곳에 때까치가 먹다 남은 쥐나 새가 걸려 있다고 한다. 그래서 때까치류는 귀여운 외모에도 불구하고 유럽에서는 도살자새라고 불린다고도 한다(호주의 도살자새는 전혀 다른 종류다).
때까치가 왜 그렇게 먹이를 걸어 두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른 맹금처럼 발톱이 날카롭지 않기 때문에 먹이를 고정시켜 두고 부리로 쉽게 찢어 먹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라는 설이 유력하다. 한 번도 그런 모습을 본 적은 없지만 꼬챙이에 걸린 고기를 뾰족한 부리로 잡아당겨 찢어 먹는 모습을 상상하니 고개가 끄덕여진다. 언젠가 실제로 먹이 먹는 모습을 꼭 보고 싶다.
2023-10-2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