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속의집 제공

‘우리가 사랑해야 하는 이유’ 책표지.
생각속의집 제공
생각속의집 제공
프랑스 작가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1900~1944)의 잠언집 ‘우리가 사랑해야 하는 이유’(생각속의집) 중 ‘어느 인질에게 보내는 편지’ 글 일부다. 나와 다른 의견을 존중하고 경청할 줄 아는 데에 민주주의의 성패가 달렸다는 의미다.
20대 대통령 선거를 5개월 남겨 놓은 시점에서 정치권의 관심이 대장동 개발 사업 논란에 쏠려 있다. 진상 규명보다 상대방을 악의 축으로 몰며 각종 프레임으로 덮어씌우기에 바쁘다. 각 진영의 지지층 결집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정치 양극화도 심화하고 있다.
한국 정치가 사생결단의 장이 된 원인은 승자독식 구조와도 연관 있다. 하지만 이는 경제 양극화, 저출산 등 산적한 과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사람들은 실수와 잘못을 반복하면서도 반짝이는 별에 이르는 길을 마침내 찾아간다”는 생텍쥐페리의 말처럼 진통 끝에 성숙한 정치 문화가 꽃피우기를 기대해 본다.
2021-10-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