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한의 절묘(猫)한 순간들] 우주를 담은 눈/고양이 작가

[이용한의 절묘(猫)한 순간들] 우주를 담은 눈/고양이 작가

입력 2022-07-24 20:28
수정 2022-07-25 0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용한 고양이 작가
이용한 고양이 작가
고양이가 지구에 올 때 우주를 눈 속에 담아 온 게 분명하다. 고양이 눈을 보라. 우주의 신비가 그 안에 다 들어 있다. 고양이는 태어날 때 파란색(회색이 살짝 감도는) 계열의 눈 색깔을 띤다. 멜라닌 색소가 부족하기 때문인데, 4~5주가 지나면서 색깔이 변하기 시작한다. 특히 2~3개월 무렵의 아깽이는 변화 중인 눈동자가 마치 행성이나 우주 대폭발과 같은 신비한 모습을 띤다. 동공을 중심으로 호박색 물감이 눈 전체로 번지는 느낌이랄까.

사실 개인적으로 나는 이 시기의 변화무쌍한 눈빛이 좋아서 여러 번 촬영을 시도했지만 만족할 만한 사진을 얻은 적이 없다. 이때의 아깽이는 눈빛보다 더 변화무쌍이어서 잠시도 가만 있지 않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아깽이가 정지해 있는 시간은 잠자고 있을 때뿐이다. 더욱이 이런 우주스러운 눈빛은 묘생에서 아주 잠깐 스쳐갈 뿐, 지속되지 않는다. 아깽이는 태어나 4개월 정도가 되면 저마다 고유의 눈 색깔(초록색, 호박색, 파란색, 갈색 등)로 자리를 잡게 된다.
이미지 확대
과거 어느 고양이 섬을 여행할 때다. 나이가 많은 어부의 집 앞에 20여 마리의 고양이가 제각기 편한 자세로 앉아 있었다. 개중에는 아깽이도 세 마리 있었는데, 모두 눈에서 막 우주 대폭발이 진행되고 있었다. 부랴부랴 나는 카메라를 들었지만 아깽이가 그래 찍어 봐, 하면서 가만있을 리 만무했다. 똥꼬발랄한 녀석들은 이리 뛰고 저리 뛰고 왔다 갔다 정신이 없었다. 그래 사진은 무슨, 구경하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벅찼다.

그때였다. 무슨 소리가 들렸는지 집 앞에 앉아 있던 고양이들 중 여남은 마리가 귀를 쫑긋 세우고 일어나더니 어디론가 달려갔다. 고기잡이 갔던 어부가 돌아온 것이다. 노인은 들통 같은 것을 바닥에 내려놓더니 잡아 온 물고기를 손질하기 시작했다. 그러고는 손질한 물고기 토막을 하나씩 고양이에게 던져 주는 것이었다. 어부가 물고기 토막을 들어 올릴 때마다 고양이들의 시선도 일제히 어부의 손끝을 향했다. 어, 잠깐만 내가 이럴 때가 아니지. 그제야 나는 카메라를 들고 고양이의 시선과 표정을 따라가기 시작했다. 무리에서 살짝 비켜난 곳에는 눈빛 최강 아깽이도 끼어 있어서 나는 녀석에게 집중했다. 아직 생선맛을 잘 모르는 것 같은 저 순진한 표정. 하지만 눈빛만은 강렬해서 나는 속절없이 녀석의 블랙홀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2022-07-2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