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버질 아블로가 시대에 제시한 것/최나욱 건축가·작가

[문화마당] 버질 아블로가 시대에 제시한 것/최나욱 건축가·작가

입력 2021-12-08 17:24
수정 2021-12-09 02: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나욱 건축가·작가
최나욱 건축가·작가
몇 년 전 지하철에서 누군가 신은 ‘이지부스트’를 신기하게 쳐다보던 기억이 생각난다. 그 신발은 실제 착용하는 대신 비싸게 되파는 리셀 문화의 시발점 같은 제품이었는데, 당시로서는 수십만원대의 신발을 신으면서 지하철을 이용하는 모습이 특이했던 모양이다. 지금이야 대중교통에서든 길거리에서든 더 비싼 신발을 신고 모자를 착용한 사람을 심심찮게 볼 수 있지만 말이다.

정말이지 내가 보낸 20대는 ‘고급과 저급’ 혹은 ‘순수와 대중’으로 구분돼 있던 문화 간 경계가 무너지는 시기다. 기존 고객층이 전혀 아니던 이들이 럭셔리 브랜드의 주요 고객층으로 나타났고, 손쉽게 수십, 수백만원짜리 패션 상품을 사는 소비 습관은 금세 미술시장으로 이어졌다. 하이엔드 문화를 고집하던 브랜드 또한 하위문화를 적극 도입했으며, 한때 순수예술에서 조롱의 대상이던 대중문화는 중요한 담론 주체가 됐다.

문화적 경계가 흐려진 것은 질색과 반색 모두를 낳았다. 특정 세상에서만 살아가는 대신 ‘저런 사람도 있구나’를 의식하는 일은 일종의 행운이자 저주였달까. ‘문화’라는 이름으로 사기꾼들이 횡행하고, 무엇이 ‘좋은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모호해져 갔다. 그러면 그럴수록 어느 한쪽에 편향되지도 않으면서 계속해서 좋은 것을 고집하려는 사람들이 위대해 보였다. 마케팅에 의해 물건의 가치가 결정되는 현대사회를 이해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을 그저 믿고 마는 게 아니라 뛰어넘고자 하는 모습 말이다.

지난달 28일 세상을 떠난 버질 아블로는 그런 사람이었다. 건축학을 전공한 그가 웬 패션 브랜드를 차리고, 그것을 건축학교에서 강의하던 때에 공부를 시작한 나로서는 영향을 부정할 수 없는데, 아블로는 분과적 구분 같은 기존 질서를 뛰어넘는 것은 물론이고, 문화와 상업 모두에서 ‘좋음’을 추구해 왔다. 하나를 선택했기 때문에 다른 것 하나를 외면한다는 변명 대신 말이다. 비록 피상적으로 그의 작업을 흉내 내 특정 분야에서 성공을 좇는 사람들도 곳곳에서 보였으나 그것은 아블로가 이 시대를 이해하고 제시한 본질과는 거리가 멀었다. 상업적 성공과 예술적 성공 모두를 성취한 영민함은 지금 같은 양가적인 시대의 갈 길을 일러 준다.

한 가지 더 와닿는 게 있다면 그가 죽은 뒤 사람들이 말하는 아블로의 인품에 관해서다. 많은 것을 이루고 간 사람에게 다른 칭찬에 앞서 ‘자신과 같은 사람에게도 친절했다’는 말을, 바쁘고 예민한 천재의 괴랄맞은 사연 대신 ‘언제나 가족과 친구에게 따뜻했다’는 기억을 되뇌는 것은 시대의 성질로 인해 우리가 잊은 어떤 가치들을 생각나게 한다.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게 아니라 양쪽의 좋음을 모두 지켜 내는 일 말이다.

하위문화와 고급문화를 오가고, 늘 무명의 젊은 사람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던 그는 제 작업을 이렇게 설명한다. “17세 당시의 나를 위한 것”이라고. 종종 모든 것을 하고, 모두에게 잘해 주겠다는 어릴 때의 기억은 ‘사회가 어떠하다’는 이유로 훼손되기 마련이지만, 그럼에도 모든 것을 지켜 낸 아름다움이 여기 있다. 아블로는 자신의 디자인 방법론 10가지를 이야기하던 강의 말미에 이런 말을 덧붙인 적이 있다. “마흔이 다 돼서야 이를 정리해 너무 아쉽다”고. 그때는 성공한 천재의 궤변인가 했으나, 41살에 죽은 아블로가 이미 몇 년 전 자신의 죽음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니 더 많은 생각으로 번지게 된다. 죽기 직전까지도 죽음을 푸념하는 대신 진행하던 프로젝트를 꿋꿋이 책임지던 사람에 대해서. 하나의 쇼에 그렇게나 많은 내용을 집어넣으려 했던 이유에 대해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고 해서 다른 가치를 포기하지 않으려던 사람에 대해서.
2021-12-0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