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전민식의 달달한 삶] 판수/소설가

[전민식의 달달한 삶] 판수/소설가

입력 2022-08-24 20:22
업데이트 2022-08-25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귀신 쫓아 주던 생활밀착 점쟁이
궁궐 살며 높은 대접받던 간신도
병원 늘어나며 자연스럽게 소멸
요즘 판수 망령 쓴 간신 되살아나

이미지 확대
전민식 소설가
전민식 소설가
내가 쓴 어느 소설에 ‘판수’라는 직업을 가진 인물이 나온다. 판수는 경을 읽어 귀신을 쫓는 사람이다. 마을에 환자가 생겼는데 이 환자의 병이 귀신에 기인한 것이니 경을 읽어 그 귀신을 내쫓는 사람을 판수라 불렀다. 선 자세로 춤을 추면서 귀신을 쫓는 사람을 무당이라 한다면 앉은 자세로 경을 읽어 귀신을 쫓는 사람을 판수라 했다.

판수는 제법 나이가 있는 사람들도 잘 모르는 단어다. 점치고 귀신 쫓는 걸 업으로 삼는 시각장애인을 이르는 말인데, 무당들처럼 신내림을 받은 사람은 아니었다. 지금처럼 병원이나 의사가 많지 않던 시절 시골에서는 병이 들면 그를 치료해 줄 마땅한 의사가 없었다. 이때 병자의 가족들이 달려간 곳이 바로 판수의 집이었다. 판수는 귀신잡이 점쟁이이지만 사람들이 살아가며 보편적으로 만나는 모든 일을 해석하고 나쁜 기운들을 몰아내고자 했던 생활밀착형 점쟁이였다.

판수는 지금 그 모습을 찾을 수 없지만 마을 단위로 한 명씩 있을 정도로 보편적인 직업이었다.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었으며 지역마다 각기 부르는 이름이 달랐다. 우리가 어쩌다 들은 이름으로는 법사, 신객, 술객이란 이름도 있다. 간혹 동네에 무당도 없고 판수도 만날 수 없을 땐 읊을 경을 구해 집안 사람이 판수 노릇을 하기도 했다. 특별한 세상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이 아니라 사람들의 아픈 일상을 같이 애달파하던 조언자라고 말하면 적당할 듯하다.

매일 아침 어머니는 잠자리에서 일어나면 가장 먼저 경을 읽는다. 자식에 손주들 이름까지 꺼내 입에 굴리며 천수경을 읊는다. 스님의 염불도 그렇고 목사님의 기도 또한 힘겹게 사는 사람들에게 건네는 위로의 말이라 생각한다. 그들의 읊음 역시 판수의 경 읽기와 다르지 않다.

봄에 모를 내며 풍년을 기원하고 배에서 그물을 걷어 올리며 풍어를 기원하며 흥얼거리는 노동가도 판수가 경을 읊는 의미와 유사하다. 나쁜 귀신이 찾아오면 가족 중 누군가의 몸을 아프게 만들고 돈이 숭숭 새게 만들며 하는 일마다 꼬이게 만든다고 한다. 이럴 때 판수가 나서서 인간들의 삶을 해코지하는 귀신을 쫓는다. 그들은 때론 매우 지혜로웠다.

조선시대에도 판수가 존재했다. 동네에도 있었고 궁궐에도 있었다. 궁에 있는 극소수 판수들은 왕의 최측근으로 높은 대접을 받았다. 그들 중에 간신들이 많았다. 천한 직업이었음에도 신하들이 그를 함부로 하대하지 못했다. 궁에 산 그들 외에 대부분의 판수들은 사람들에게 큰 위로를 주었다. 꽤 오랫동안 생명력을 유지해 왔던 판수는 1970년대 들어서며 병원이 늘어나기 시작하고 의사들을 통해 병이 치료되면서 몰락하기 시작했다.

무당 같은 분위기를 풍기지 않고 화려한 굿을 하는 것도 아니며 거의 대다수가 시각장애인이었던 판수는 이제 거의 사라지고 없다. 그렇다고 그들이 점을 봐 주는 비용이나 귀신을 쫓아 주는 비용으로 많은 금액을 받은 것도 아니었다. 하루 끼니 채울 정도의 비용만 받았고, 같이 다니는 대잡이나 삿대잡이들은 무보수로 봉사를 하는 경우도 허다했다. 박한 직업이었던 터라 다른 일을 하지 않으면 먹고살기 힘들었다. 그러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져 갔다.

일상의 상처를 만져 주고 병들면 민간 처방을 해 주었고 인생 상담을 해 주는 정도의 밀착형 점쟁이들이 요즘 어쩐 일인지 간신이던 판수들의 망령을 쓰고 되살아나고 있는 듯하다. 선을 넘어 버리면 그건 귀신들의 놀이가 된다.

그런데 이건 나만의 느낌일까? 구한말 서울 거리에서 대나무 막대기로 길을 더듬어 가며 낮은 소리로 고객을 찾는 판수들을 쉽게 볼 수 있었다고 한다. 그 시절 대부분의 판수는 본인도 어려웠지만 고통받는 사람을 도우며 같이 애달파했다. 그런 모습이 진짜 판수였다.
2022-08-25 2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