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황두진의 안에서 보는 건축] 미래를 예측하는 일/건축가

[황두진의 안에서 보는 건축] 미래를 예측하는 일/건축가

입력 2022-09-07 20:22
업데이트 2022-09-08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 건축가
건축과 도시는 미래를 예측하는 일이다. 연면적 3000㎡인 사옥의 설계는 정부 청사 기준을 적용했을 때 400명 안팎의 인원을 수용하려는 것이다. 처음에는 면적이 남아돌아 건물주를 제외한 모든 이들이 설계를 참 잘했다고 할 수 있겠지만, 점점 시간이 지나면 상황은 달라진다. 조직이 발전하고 성장하면 대체로 인원도 늘어난다. 어떤 시점이 되면 당초의 예상을 훨씬 넘어서는 많은 인원이 좁은 공간에서 서로 부대끼며 이 건물 누가 설계했냐고 묻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그나마 이것은 상대적으로 행복한 경우다. 조직이 침체돼 인원이 늘어나기는커녕 줄어든다면 어떻게 될까. 여기저기 빈자리가 생기고 아예 불 꺼진 방도 생긴다면? 이 경우 1인당 면적이 늘어났다고 좋아할 사람은 없다. 서로 눈치를 보며 조직의 미래에 대해 걱정할 것이다. 건축은 문자 그대로 ‘하드웨어’여서 신축성이 별로 없다. 조직이 성장하건 쇠퇴하건 그때그때 상황에 필요한 만큼 맞춰 주기 어렵다. 결국 항상 모자라거나 넘치거나, 둘 중의 하나다. 운영의 묘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겠지만 한계가 있다.

근대화 이후 대한민국의 상황은 대체로 전자였고 지금은 안타깝지만 점점 후자가 늘어나는 것 같다. 서울 강남의 경우 1970년 당시 양택식 시장이 남서울개발계획을 발표했는데 이는 60만명이 거주할 신시가지를 영등포의 동쪽, 즉 ‘영동’이라 불리던 광활한 지역에 조성한다는 내용이었다. 지금은 강남구 한 곳의 인구가 거의 그 수준이니 예측이 엄청나게 안 맞은 셈이다. 그러다 보니 집중된 인구에 비해 생각보다 도로율이 높지 않아 상시적인 교통 체증에 시달린다. 밀리는 차 안에 갇혀 있다 보면 온갖 원망이 생길 수 있겠지만, 정말 진정으로 당시의 도시계획가들을 비난할 수 있을까.

반대의 경우도 있다. 강남의 교훈 덕이었을 수도 있는, 미리 큰 그림을 그린 경우다. 처음 지어졌을 때 허허벌판에 엄청난 규모로 덩그러니 서 있어서 ‘우주기지’라는 빈정거림을 샀던 광명역은 지금 주변에 대륙 스케일의 건물이 빼곡하게 들어선 신개발지의 중심이 됐다.

지하철 5호선 마곡역은 처음에는 논 한복판에 있어 전동차가 아예 서지도 않고 지나갔다. 지금은 서울 서남부 지역의 중심지 중 하나로 첨단 연구 시설이 밀집해서 자리잡는 중이다. 예측이 맞은 덕도 있겠지만 어느 정도는 자기 현시적 예언이 이루어진 것이다. 적어도 지금까지는 그만큼의 사회적 에너지가 있었다.

문제는 이제부터다.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인구문제도 심각하다. 아무리 상상력을 동원해도 1970년대 초와는 상황이 완전히 다른 지금, 미래에 대한 예측은 그만큼 신중해야 할 문제다. 구도심은 텅텅 비고 신도시는 늘어나는 일은 정말 미래지향적인 것일까. 일본의 교외 지역에 닥치고 있다는 ‘식량 사막’과 같은 현상은 우리라고 예외일까. ‘더이상 이렇게 갈 수는 없다’고 이야기할,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사람이 더 늦기 전에 어디에선가 나타나기 바란다.
2022-09-08 26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